배너

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정부의 배당확대. 기업들의 참여 확대

정부의 배당 확대 정책에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2014년 결산배당을 발표한 10대 그룹 상장사 32곳 중 75%가 배당금을 늘렸으며 전문가들은 뚜렷해진 배당 증가 추세가 중장기적으로 주가 상승 동력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0대 그룹의 94개 상장사 중 32개 종목이 현금배당을 결정했다. 이 중 24곳이 2013년에 비해 배당금 총액을 늘렸다. 삼성SDS 등 지난해 배당을 하지 않은 4개 종목도 올해는 배당주로 이름을 올렸다.

정부의 배당 확대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곳은 현대차그룹이었다.

현대차는 보통주와 우선주를 합산한 배당금을 전년 대비 52.9%, 기아차는 42.5% 늘렸다. 하지만 주가는 실적 부진에 발목이 잡혔다. 배당금 발표 후 현대차 주가는 1.2%, 기아차는 7.8% 하락했다. 반면 견조한 수익이 기대되는 현대글로비스와 현대모비스는 배당 확대가 주가 상승에 촉매제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삼성그룹 17개 상장사의 총 배당금은 3조9354억원으로 2013년 대비 35.3% 증가했다. 배당성향은 에스원(34.77%), 배당수익률은 삼성카드(2.26%)가 그룹 내 상장사 중 가장 높았다. 배당 결정 후 에스원 주가는 5.8%, 삼성카드는 4.1% 올랐다. 한화로 매각되는 삼성테크윈과 지난해 12월 상장한 제일모직 등은 배당을 하지 않기로 했다.

2013년 결산배당을 하지 않은 SK하이닉스와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등은 지난해 실적 개선을 기반으로 2010년 이후 4년 만에 배당을 했다. 포스코는 대우인터내셔널(66.4%)과 포스코켐텍(15.7%)의 배당을 늘렸다. GS그룹에서는 GS홈쇼핑(119.2%)의 배당 증가율이 돋보였다.

배당수익률이 0.5%를 넘는 곳이 한 군데도 없는 롯데그룹과 2011년 이후 3년 연속 1% 넘는 배당수익률을 이어온 한화그룹의 올해 행보도 관심을 모으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배당 확대를 주도하면서 상장사 평균 배당성향은 2013년 14.2%에서 16.4%로, 배당수익률도 1.07%에서 1.24%로 올라갈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이영원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업들의 이익이 정체 상태인 것에 비하면 배당 증가폭이 크다”며 “여전히 세계 시장 평균엔 못 미치지만 정책의 방향이 설정된 만큼 기업들은 더 적극적으로 배당에 나설 것”으로 예상했다. 세계 주요국의 평균 배당성향은 40%, 배당수익률은 2.4%다.

남성현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퀀텀마인드, 차세대 멀티모달 AI '뉴럴링크 5' 공개...인간 수준 추론 능력 '주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AI 선도 기업 퀀텀마인드가 오늘(11월 1일) 오전, 차세대 멀티모달 AI 모델 '뉴럴링크 5'를 공식 발표하며 전 세계 기술 커뮤니티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뉴럴링크 5는 기존 AI 모델의 한계를 뛰어넘어,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인간 수준에 근접한 복합적인 추론 능력을 선보인다는 점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뉴럴링크 5는 특히 단순한 데이터 결합을 넘어, 서로 다른 모달리티 간의 미묘한 관계와 맥락을 파악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퀀텀마인드 측은 데모를 통해 복잡한 시각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세한 상황 설명을 생성하고, 음성 명령만으로 복합적인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며, 심지어 특정 상황에 대한 감정적 뉘앙스까지 이해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이는 산업 자동화, 의료 진단, 교육 콘텐츠 개발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을 시사한다. 뉴럴링크 5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 사회 전반에 걸친 생산성 향상과 새로운 서비스 창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은 데이터 분석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