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대한민국 성인 10명중 8명 " 개인정보보호 중요성 알지만 관련정책엔 통 관심 없어"

대한민국 성인 10명 중 8명은 온라인 상에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해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지만, 정작 관련 정책이나 뉴스등에는 관심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최초의 원격대학인 세종사이버대학교(총장 김문현)는 대한민국 성인남녀 36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상에서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개인 정보보호의 중요성을 묻는 질문에는 83.8%(308명)의 응답자가 '많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또 평소 금융사이트 .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전자상거래를 할때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불안감을 얼마나 느끼는지를 묻는 질문에도  ‘많이 불안하다’가 178명(48.9%), ‘조금 불안하다’가 44.2%(161명)으로 대다수의 응답자들이 개인정보유출에 대해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가 유출된 경험이 있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무려 78.3%(285명)의 사람들이 ‘있다’고 답했다.

이처럼 개인정보보호를 상당히 중요하게 여기고 개인정보유출에 대해 불안해 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관련 정책에 대한 정보나 대응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개인정보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정책이나 뉴스 등에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67.3%(245명)의 응답자들이 ‘별로 관심 없다’, 11.8%(43명)의 응답자들이 ‘전혀 관심 없다’라고 답했다. ‘필요한 정보에만 관심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15.4%(56명)였으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라고 답한 사람은 1.9%(7명)에 그쳤다.

또 공인인증서와 온라인 사이트 등의 비밀번호를 바꾸는 주기를 묻는 질문에는 41.2%(150명)의 응답자들이 ‘9~12개월’이라고 답했으며 ‘1년 이상’이라고 답한 사람도 38.7%(141명)나 됐다. 비밀번호를 자주 바꾸는 것이 어려운 이유로는 ‘귀찮아서’ 라는 답변이 39.6%(144명)로 1위, ‘사이트마다 바꾼 비밀번호를 일일이 기억하기 어려워서’라는 답변이 37.9%(138명)를 차지하며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금융사이트·온라인 쇼핑몰 등에서의 전자상거래 시 개인정보보호 수집 및 이용 동의서를 얼마나 살펴보는 편인지’를 묻는 질문에도 44.8%(163명)의 응답자들이 ‘대충 훑어 본다’고 답했으며 ‘전혀 보지 않는다’고 답변한 응답자도 36.3%(132명)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최근 정보보호 분야의 큰 이슈 중 하나인 ‘액티브X 폐지’ 정책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과반수가 넘는 55.2%(201명)의 응답자가 ‘들어본 적이 없다’고 답했으며 개인정보보호 관련 교육이나 유용한 정보를 받아 본 적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72.3%(263명)의 사람들이 ‘없다’고 답했다.

세종사이버대학교 정보보호학과 박용석 교수는 “많은 사람들이 온라인 상에서의 개인정보보호 중요성에 대해 인지는 하고 있지만, 막상 개인의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에는 여전히 소홀한 것이 사실”이라고 의사를 밝혔다. 앞으로는 어떤 대처가 필요하냐는 질문에 “온라인 상거래 시 개인정보유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정착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 보안 시스템 및 정보보호 관련한 올바른 지식을 제공해주는 정부와 관련 기관의 교육, 그리고 스스로 개인 정보를 지키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함께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병주 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