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뇌 기억활동, 스위치 켜야 작동

동영상 촬영을 위해서는 캠코더의 '녹화' 버튼을 눌러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람의 뇌도 스위치를 켜야 기억을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펜스테이트 대학 심리학과 교수인 브래드 위블과 후이 첸은 100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뇌의 기억 스위치를 켜야 뇌의 기억 활동이 진행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들은 실험에서 지원자에게 숫자(numbers)와 글자(letters)로 구성된 문구를 주면서 글자의 '위치'를 물어볼 것이라고 밝혔다.

잠시 뒤 실제로 글자의 '위치'를 질문한 결과 대부분이 정확하게 맞췄다.

이어 교수들은 글자가 구체적으로 뭐였는지를 물었다. 이 질문에서는 글자를 정확하게 맞춘 지원자가 25%에 그쳤다.

이후 이번에는 글자의 위치뿐만 아니라 그 글자가 무엇인지까지 물어보겠다고 말한 뒤 새로 실험을 했다.

이 실험에서는 적게는 65%, 많게는 95%의 지원자가 정확하게 글자까지 맞췄다.

이번 실험을 통해 사람의 기억활동이 캠코더와 같은 원리로 작동한다고 결론 내렸다.

캠코더의 렌즈에는 많은 영상이 잡히지만 실제로 녹화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아무것도 녹화되지 않는 것처럼 사람의 뇌도 뭔가를 기억하기 위해서는 스위치를 켜야 한다는 것이다.

위블 교수는 "사람의 뇌는 기억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아주 간단한 정보조차도 기억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면서 "기억하겠다는 스위치를 눌러야 기억 기능이 작동하게 된다"고 말했다.

윤병주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