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지난해 땅값 상승률, 7년만에 최고치


지난해 땅값 상승률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토교통부는 작년 전국 땅값이 평균 1.96% 올라 2007년(3.88%) 이후 7년 만에 가장 높았다고 말했다.

서울 등 수도권 땅값은 1.91% 상승했고, 지방도 2.06% 올랐다. 17개 광역시·도 가운데서는 주요 정부부처가 이전한 세종시가 4.53% 올라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중국 자본의 부동산 투자가 몰리고 있는 제주(3.73%)와 집값 상승세가 가파른 대구(3.15%)가 뒤를 이었다. 서울(2.66%) 경북(2.42%) 부산(2.28%) 등도 평균 상승률을 웃돌았다. 반면 경기(1.24%)와 인천(1.35%) 광주(1.31%) 등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시·군·구별 상승률을 보면 테크노폴리스 개발사업이 진행 중인 대구 달성군이 4.71%로 가장 높았다.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 효과로 토지 수요가 늘어난 제주 서귀포시(4.48%)와 전남 나주시(4.46%)가 뒤를 이었다.

인천 강화군은 유일하게 땅값이 0.11% 하락했다. 강원 태백시(0.19%)와 속초시(0.26%), 경기 연천군(0.27%) 동두천시(0.27%) 등 특별한 개발 호재가 없는 지역도 땅값 상승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병주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