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단 음료 많이 마시는 여아, 조기 사춘기 가능성 高


 

당분 함량이 많은 음료를 자주 마시는 여자 아이가 조기 사춘기를 맞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하버드 공중보건대학 연구팀이 9~14세의 여자 어린이 5600여명을 대상으로 1996년에서 2001년까지 추적 한 결과, 단 음료를 매일 1.5인분 양을 마신 어린이는 1주일에 2회 이하로 단 음료를 마시는 어린이에 비해 사춘기가 2.7개월 빨리 오는 것으로 드러났다.

제니 카와일 연구원은 “조기 사춘기는 청소년기에 우울증 발생 위험을 높이고 성인 때에는 유방암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단지 월경이 빨리 시작된다는 것 이상의 영향을 의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 의하면 단 음료를 많이 마시는 여자 어린이는 평균적으로 첫 월경이 12세8개월 때 시작된 반면 적게 마시는 어린이는 평균 13세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먹는 식품에 대해 상세한 질문서를 받은 뒤 다른 식품에서 섭취하는 당분과는 별도로 음료에서 섭취하는 당분 양을 분리해 냈다.

카와일은 “이전의 연구에서도 자당, 포도당, 전분당 등을 함유한 단 음료들은 체중 증가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또 하나의 나쁜 영향이 드러나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수연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속도 조절 논의 확산: 윤리적 우려와 기술 발전의 균형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개발 속도 조절과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이 국제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AI의 잠재적 위험성과 사회적 영향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 발전과 윤리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가 생성하는 콘텐츠의 진위 여부 판별의 어려움, AI를 활용한 사이버 공격의 위험 증가, 그리고 AI 기술의 오용 가능성 등이 주요 우려 사항으로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개인정보 유출,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국가 안보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전 세계적으로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은 AI 개발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 강화를 촉구하고 있다. 기술 개발의 속도를 늦추고, AI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공통된 원칙과 규제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AI 기술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AI 시스템의 책임성을 명확히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하지만, AI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