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작년 1인당 쌀 소비량 사상 최저

 
1인당 하루 쌀소비량이 지난해에 또다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잡곡을 포함한 기타 양곡 소비량은 2년 연속 증가했다.

통계청은 27일 발표한 '2014년 양곡소비량 조사 결과'에서 가구부문 1인당 하루 쌀 소비량은 178.2g으로 전년보다 5.8g(3.2%) 감소해 또다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1963년 통계 작성 이후 1인당 하루 쌀 소비량이 가장 많았던 1970년 373.7g의 47.7%에 불과하며 밥 한 공기를 쌀 100g으로 가정하면 하루에 밥을 두 공기도 먹지 않는다는 의미다.

통계청은 쌀을 이용한 하루 식사량이 계속 줄어들고 있다면서 2010년부터 1인당 하루 쌀 소비량이 200g을 계속 밑돌고 있다고 설명했다.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65.1㎏으로 전년보다 2.1㎏(3.1%) 줄었고 1인당 연간 기타 양곡 소비량은 8.7㎏으로 전년보다 0.6㎏(7.4%) 늘어 2년 연속 증가했다.

쌀과 기타 양곡을 포함한 지난해 1인당 연간 양곡 소비량은 73.8㎏으로 전년보다 1.5㎏(2.0%) 감소했다.

양곡 중 쌀의 비중은 줄었지만 기타 양곡의 비중은 11.8%로 전년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1인당 연간 양곡 소비량은 1981년 이후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추세이며 소비량이 가장 많았던 1967년 196.8㎏ 대비 37.5% 수준에 불과하다.

농가의 1인당 연간 양곡 소비량은 121.3㎏으로 비농가(70.0㎏)의 1.7배였다.

제조업(식료품 및 음료)의 쌀 소비량은 53만4천999t으로 전년보다 1.7% 늘었으며 업종별로는 주정제조업이 전년보다 41.2% 늘었고 떡류 제조업은 7.6% 줄었다.

통계청은 저가 미곡 물량이 늘어나 주정 제조업체들이 쌀을 원료로 많이 이용했고 떡류 제조업의 쌀 소비량 감소는 경기 침체와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윤병주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