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스 퐁텐블로, 싱가포르 및 샌프란시스코 2025년 11월 26일 /PRNewswire/ -- 싱가포르가 최신 글로벌 인재 경쟁력 지수(Global Talent Competitiveness Index, GTCI)에서 스위스를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인공지능 시대에 적응력 있고 디지털에 능숙하며 혁신 준비가 갖춰진 인력을 육성하는 강점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싱가포르는 올해 처음으로 이 연례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GTCI 순위는 인시아드(INSEAD)가 노동시장, 업무 조직, 인재 흐름에 관한 정책 사고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2013년부터 발표하기 시작했다.
이번 발표에서도 고소득 유럽 국가들은 여전히 상위 10위권을 유지했지만, 올해 GTCI 보고서에서는 미국이 3위에서 9위로 하락하는 등 여러 주요 경제권의 순위 하락이 눈에 띄었다.
'혼란의 시대에서의 회복력(Resilience in the Age of Disruption)'을 주제로 한 올해 GTCI(2013년 이후 11번째)는 각 나라와 경제권이 혼란을 견딜 수 있는 인재 시스템을 어떻게 구축하고 있는지 집중적으로 다뤘다. 135개 경제권의 순위는 소프트 스킬, AI 인재 집중도 등 77개 지표를 바탕으로 산출되며, 평가 기준은 지원(Enable), 유치(Attract), 성장(Grow), 유지(Retain), 직업•기술 역량(Vocational and Technical Skills), 일반 적응 역량(Generalist Adaptive Skills) 등 6개 부문이다.
펠리페 몬테이로(Felipe Monteiro) 인시아드 GTCI 학술 책임자 겸 전략 분야 수석 겸임교수는 "진정한 인재 회복력은 역경을 혁신, 적응력, 새로운 목적의 촉매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그는 "회복력은 불가피한 충격과 위기에서 단순히 제자리로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도약하도록 배우는 것을 의미한다"라고 설명했다.
릴리 팡(Lily Fang) 인시아드 연구•혁신 담당 학장은 "올해 보고서는 국가 간 경쟁 그 이상으로 여겨져야 한다"며 "리더들은 이 보고서를 통해 인류 발전이라는 거대한 목표 아래 AI와 같은 강력한 기술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해 깊이 있는 성찰을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올해 순위 발표는 인시아드와 미국 워싱턴 D.C. 기반 비영리 연구 기관인 포툴란스 인스티튜트(Portulans Institute) 간 새로운 파트너십의 시작을 알리는 자리이기도 했다.
라파엘 에스칼로나 레이노소(Rafael Escalona Reynoso) 포툴란스 인스티튜트 최고경영자(CEO)는 "급격한 기술 변화, 지정학적 불확실성, 심대한 사회적 전환이 동시에 일어나는 지금, 신뢰할 수 있는 인재 지표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커진 상황에서 이번 협력은 GTCI에 새로운 깊이와 명료성을 더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싱가포르의 강점
GTCI 보고서는 이번 최신 순위에서 싱가포르가 교육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진화시키고, 적응력과 혁신 중심의 인력을 육성하기 위한 미래지향적 접근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두드러진다고 평가했다.
싱가포르는 소프트 스킬, 디지털 리터러시, 혁신 지향적 사고 등 급변하는 환경이 요구하는 역량을 갖춘 노동력을 기반으로 '일반 적응 역량'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또한 인재 유지 능력도 7계단 상승해 31위에 올랐다.
폴 에반스(Paul Evans) 인시아드 조직행동학 명예교수 겸 보고서 공동 편집자는 "적응력이 뛰어나고, 다기능적이며, AI에 정통한 인력을 양성하는 경제권이 혼란을 기회로 전환하고 장기적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 가능성이 높다"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결과는 인재 경쟁력이 단순히 소득 수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략적 정책 방향, 제도적 품질, 그리고 인적 자본의 효과적인 동원 능력에 의해 좌우된다는 점을 강조한다"라고 덧붙였다.
GTCI 2025: 상위 20개국
1. 싱가포르 | 11. 아일랜드 |
2. 스위스 | 12. 영국 |
3. 덴마크 | 13. 아이슬란드 |
4. 핀란드 | 14. 캐나다 |
5. 스웨덴 | 15. 벨기에 |
6. 네덜란드 | 16. 오스트리아 |
7. 노르웨이 | 17. 독일 |
8. 룩셈부르크 | 18. 뉴질랜드 |
9. 미국 | 19. 프랑스 |
10. 호주 | 20. 체코 공화국 |
적은 자원으로 더 큰 성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산하 공동연구센터(Joint Research Centre)의 감사를 받은 GTCI 2025가 전하는 핵심 메시지 중 하나는, 투자를 의미 있는 성과로 전환하는 능력이 인재 경쟁에서 각 경제권의 성패를 결정짓는 요소가 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스라엘은 싱가포르, 한국과 함께 적은 자원으로 더 우수한 인재 성과를 도출하는 능력 면에서 두드러졌다. 이는 타지키스탄, 케냐, 우즈베키스탄, 스리랑카, 미얀마,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와 같은 일부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들에서도 나타났다. 심지어 르완다를 포함한 저소득 국가들조차 인재 개발을 위한 강한 기반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에반스 명예교수는 "교육, 노동, 혁신 시스템을 '적응형 인재 개발' 방향으로 조정하는 경제권은 소득 수준이 높지 않더라도 높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지역별 분석
지역별 순위에서 큰 이변은 없었다. 유럽은 여전히 순위를 주도했으며, 독일(17위), 프랑스(19위), 영국(12위) 등 주요 경제권을 포함해 상위 25위 중 18개를 차지했다.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에서는 호주(10위)와 뉴질랜드(18위)가 인재 유지 부문에서 싱가포르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일반 적응 역량'에서는 뒤처졌다. 중국은 순위가 40위에서 53위로 하락했는데, 이는 우호적이지 못한 비즈니스 환경과 노동 시장을 반영한 것이며, 보고서는 불충분한 데이터 역시 일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고 인정했다.
북미 지역은 미국(9위)과 캐나다(14위)가 각 분야에 걸쳐 숙련된 인재를 육성하고 배치하는 역량을 보여주며 강세를 나타냈다. 다만 미국은 2023년에 비해 순위가 하락했다.
북아프리카와 서아시아 지역에서는 이스라엘(23위)이 선두를 기록했으며, 아랍에미리트(25위)는 인재 유치와 기술 개발 부문에서 지역 최고 성과를 냈지만, 고급 기술 역량에서는 다소 뒤처졌다.
칠레(39위)는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에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으며, 우루과이(42위)와 코스타리카(44위)가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이 지역의 두 대형 경제권인 브라질과 멕시코는 모두 상위 50위 안에 들지 못했다.
향후 전망에 대해 에스칼로나 레이노소 CEO는 "오늘날 가장 중요한 것은 적응 능력이다. 즉, 협업하고, 학제 간 사고를 수행하며, 압박 속에서도 혁신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중심 환경을 헤쳐 나갈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역량이 점점 더 국가 경쟁력을 규정하고 있으며, GTCI는 이제 이 현실을 어느 때보다 명확하게 포착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추가 정보 및 미디어 자료 전체 보고서와 인포그래픽은 여기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다. 온라인에서 #GTCI2025를 팔로우할 수 있다.
GTCI 2025 조사 결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확인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