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24 (월)

  • 구름조금동두천 15.6℃
  • 맑음강릉 17.8℃
  • 연무서울 16.6℃
  • 연무인천 15.2℃
  • 구름조금수원 16.3℃
  • 맑음청주 17.4℃
  • 맑음대전 18.2℃
  • 맑음대구 18.6℃
  • 맑음전주 17.8℃
  • 맑음울산 19.6℃
  • 맑음광주 18.7℃
  • 맑음부산 19.0℃
  • 맑음여수 18.0℃
  • 구름조금제주 20.5℃
  • 구름조금천안 16.3℃
  • 맑음경주시 20.2℃
  • 맑음거제 17.1℃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강원 남부권 6개 시군, 원주(횡성)공항 국제화 공동건의문 채택

제7차 공항개발종합계획 반영 건의...지역경제 활성화 및 공동 번영 염원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강원 남부권 6개 시군(원주·횡성·영월·평창·정선·태백)은 24일 오전 11시, 호텔인터불고 원주에서 국토교통부의 ‘제7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원주(횡성)공항의 국제화 사업 반영’을 요청하는 공동 건의문을 채택했다.

 

이날 서명식에는 원강수 원주시장, 김명기 횡성군수, 이상호 태백시장, 최명서 영월군수, 심재국 평창군수, 최승준 정선군수 등 강원 남부권 6개 시군의 시장·군수가 모두 참석해 원주(횡성)공항 국제화 추진에 뜻을 모았다.

 

이번 공동 건의문 채택은 원주(횡성)공항 국제화가 침체된 강원 남부권 경제를 되살리고 공동 번영을 이끌 핵심 인프라라는 인식을 공유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조치를 요청하기 위해 마련됐다.

 

건의문의 주요 내용은 ①강원 남부권의 절실한 지역 현안과 새로운 돌파구 필요성 ②원주(횡성)공항의 경제적 파급 효과 ③국토교통부의 선제적 결단 촉구 등이며, 강원특별자치도를 통해 국토교통부에 전달될 예정이다.

 

원주(횡성)공항의 시설 개선으로 국제선 유치 여건이 갖춰지면, 강원 남부권 지역 경제 활성화는 물론,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 해소와 강원특별자치도 발전의 중요한 돌파구 확보가 기대된다.

 

한편 원주시는 지난 1월 시의회 차원의 건의안을 채택했고, 2월에는 원주시·횡성군 공동 건의문 서명식을 통해 유치 의지와 열망을 지역사회에 알렸다. 3월과 9월에는 민간 사회단체가 홍보 캠페인과 결의대회를 전개하며 시민 공감대를 확산했다.

 

원강수 원주시장은 “강원 남부권에 국제선 하늘길이 열리면 해외 관광객의 유입이 폭발적으로 증가해 각 시군의 관광 자원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라며, “이는 곧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지역 상권 활성화로 이어져, 강원 남부권 전체의 공동 번영을 실현하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원주(횡성)공항의 국제화를 위해 55만 강원 남부권 주민 여러분의 힘을 모아주시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국제이슈] 베트남 호찌민서 훼손된 한국인 시신 발견...

독자들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현재까지 확인된 이번 사건의 핵심 팩트를 우선 정리했다. 11월 23일(현지시간), 베트남 호찌민시 7군 등 한인 밀집 지역으로 추정되는 고급 아파트 인근에서 발생했다. 대형 여행용 가방에서 심한 악취가 난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현지 공안이 가방 내부에서 훼손된 한국인 남성의 시신을 발견했다. 베트남 공안은 현장 탐문 및 CCTV 분석 등을 통해 유력 용의자로 한국인 2명을 긴급 체포하여 조사 중이다. 외교부와 주호찌민총영사관은 사건을 인지한 즉시 현지 수사 당국과 공조하고 있으며, 유가족 지원 등 영사 조력을 가동했다. 베트남 최대 경제 도시이자 한국 교민들이 다수 거주하는 호찌민시의 한 고급 아파트 단지 인근에서 한국인 남성의 시신이 대형 가방에 담긴 채 발견되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특히 이번 사건의 유력한 용의자로 한국인 2명이 현지 공안에 체포되면서, 해외 체류 국민 간의 강력 범죄가 위험 수위를 넘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는 단순한 개인 간의 원한을 넘어 폐쇄적인 교민 사회 내 이권 다툼이나 금전 문제가 강력 범죄로 비화하는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외교부와 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