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셀카족 잡기위한 스마트폰 전면카메라


최근 자신의 사진을 찍어 공유하는 셀카족들이 늘어나면서 스마트폰 시장에도 '셀카족'을 겨냥한 신제품이 니오고 있다.

기존 스마트폰들이 뒷면 카메라 성능에만 주력했다면 이제는 본인의 모습을 확인하며 더 잘 찍을 수 있도록 전면카메라 화소를 높이거나 셀카에 특화된 다양한 기능을 선보이고있다.

삼성전자는 풀 메탈 보디에 강력한 셀프카메라(셀피) 기능을 갖춘 '갤럭시A5'(사진)와 '갤럭시A7'을 22일과 이달 말에 연달아 출시한다.

두 제품 모두 500만화소의 고화질 전면카메라를 통해 다양하고 재미있는 셀프 카메라 기능을 즐길 수 있고, 잠금화면에서 바로 카메라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 촬영 전 단계별로 피부 톤과 눈 크기, 얼굴형을 설정할 수 있는 '뷰티 효과', 음성명령뿐 아니라 손바닥을 활짝 펴는 동작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손바닥 인식 촬영', 최대 120도의 넓은 화각으로 많은 인원을 한 장의 사진에 담을 수 있는 '와이드 셀프샷'과 '움직이는 GIF 사진' 등 다양한 셀피 모드를 지원한다.

앞서 소니는 지난해 셀프카메라에 특화된 스마트폰 '엑스페리아C3'를 발표했다. 엑스페리아C3는 셀카 스마트폰답게 전면 500만화소 카메라를 탑재했으며 전면카메라 옆에 발광다이오드(LED) 플래시가 장착됐다. 후면카메라는 500만화소이고 특히 셀프 카메라를 더욱 편리하게 찍을 수 있도록 웃으면 자동으로 촬영되는 '스마일 셔터' 기능도 지원하고 있다.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은 중국 소비자들이 셀카 기능을 휴대폰 선택의 기준으로 삼는 점에 착안해 일찌감치 전면카메라 화소를 높였다. 오포(OPPO)는 셀카족을 겨냥해 지난 2012년 세계 최초로 500만화소 전면카메라를 채택한 바 있다. 이후 샤오미 MI4, 화웨이 어센드 P7 등에는 800만화소 전면카메라가 탑재됐다.

이제는 1300만화소의 전면카메라를 담은 제품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인도의 샤오미'라고 불리는 마이크로맥스 역시 이달 1300만화소 전면카메라가 탑재된 스마트폰 '캔버스'를 공개했다. 대만 스마트폰 업체 HTC 역시 1300만화소 전면카메라를 탑재한 신제품 '디자이어 아이'를 출시했다.

남성현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