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5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PR Newswire

2026 베이징 관개 박람회: 스마트 농업의 현주소와 관련 기술이 한 자리에서

베이징 2025년 10월 24일 /PRNewswire/ -- 베이징 국제 현대 보호 농업 엑스포(Beijing International Modern Protected Agriculture Expo)가 2026년 3월 30일부터 4월 1일까지 베이징 국립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 예정인 가운데 같은 기간 같은 장소에서 제12회 베이징 국제 관개 기술 엑스포(Beijing International Irrigation Technology Expo) 겸 세계 관개 기술 총회(World Irrigation Technology Congress)도 함께 열린다.

이 엑스포는 중국에서 전문성과 규모 면에서 첫손에 꼽히는 행사로 국내외 스마트 농업과 관개 기술을 연결해 주는 혁신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여기서는 스마트 농업과 보호 농업, 관개 기술 등 산업 밸류 체인 전반의 동향을 한눈에 볼 수 있다.

3만 제곱미터 전시 공간에 33개국 800여 기업의 최첨단 장비와 기술이 전시될 예정이다.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과 상장 기업 등 20여 선도 기업이 참가 의사를 밝힌 상태다.

이번 행사에는 중국 각 성의 농업농촌부, 농업 개간 단체, 중대형 관개 지구 운영 센터 등 주요 조달 기관에서 3만 5천이 넘는 전문 바이어가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 유수의 과학 연구 기관, 기술 이전, 저명한 농업 투자 기관, 금융 기관 등 유력 국제 기관 대표단도 참가가 예정되어 있다.

국제 협력 측면에서는 "농업 관개 시스템 국제 특별 홍보 세션", "글로벌 조달 매치메이킹 컨퍼런스"와 같은 행사가 엑스포의 일환으로 개최 예정이다. 이 자리에서는 세계 주요 농업 국가의 대표단이 기업 간 국제 파트너십 강화와 해외 조달 수요에 참여하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게 된다.

한편 이번 행사에서는 컨벤션 기간에 고위급 세션 다수가 동시에 열릴 예정이다. 중국 농업농촌부 고위 관리, 중국공정원 학자, 업계 전문가, 국제기구 대표 등 저명 인사 다수가 초청 연사로 나서 농업 기술의 미래에 대한 식견을 공유하게 된다.

현재 전시 공간 예약과 포럼 등록, 광고 신청이 진행 중이다. ITE 2026에 많은 참여가 필요한 때다.

공식 홈페이지: https://www.chinaite.com.cn/en/ 

방문자 등록: http://s.whte.cn/d/t1fbbI 

문의처: 에이미 후(Amy Hu) 전화: +86-15299102268 메일: itebeijingamy@foxmail.com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美 연준, 추가 금리 인상 시사…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가중, 한국 경제 영향 촉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최근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통해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다시 한번 증폭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 유지 배경과 더불어, 이로 인해 한국 경제가 직면할 수 있는 파장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번 의사록 공개는 고물가 압력이 여전히 높고 노동시장의 견조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연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 달성을 위해 당분간 긴축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시장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을 꺾고 고금리 시대가 장기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미국 금리 인상 기조의 강화는 곧바로 한국 금융시장에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미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원/달러 환율의 추가 급등을 부추기고, 외국인 투자 자금의 유출 가능성을 높여 금융 불안정을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은행이 물가와 경기 상황을 고려해 금리 인상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