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1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집에 대한 인식변화, 임대시장 인기



 

아파트를 떠나 임대시장으로 향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금융위기 후 집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임대시장에 머물려는 수요가 많아졌고, 전세난도 ‘탈(脫) 아파트’ 행렬에 한몫했기 때문이다.

세입자들은 아파트를 못구해 빌라(연립/다세대) 등으로 밀려나고 있으며 청년층 1인 가구 사이에선 ‘셰어하우스’(공유주택) 붐이 일어나는 등 주거형태가 다양화되고 있다.

아파트 대안으로 실속형 전원주택인 ‘땅콩주택’, ‘완두콩주택’ 등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전원주택에 살면서 임대 수익을 챙기는 ‘캥거루하우스’도 등장했다.

14일 국토교통부의 전국 주택건설 인허가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아파트는 11월말까지 총 29만3637가구로, 전체의 65.8%를 차지했다. 

주택유형별 인허가 실적 집계가 시작된 지난 1995년 이후 2000년까지 70∼80% 수준이던 아파트 비중은 2001년 2차 전세대란에 따른 다세대 주택 건축 붐으로 50%대로 급감했다.

이후 부동산 대호황기였던 2003년∼2007년 한때 90%에 육박하다가 2008년 금융위기를 계기로 70%대로 떨어졌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금융위기 이후 집을 사기 보다는 임대 시장에 머물려는 이들이 늘어난 게 아파트 공급이 위축된 가장 큰 이유”라며 “여기에 저금리 기조로 오피스텔 등 수익형 부동산 투자가 뜨고, 예전보다 아파트 이외 주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점도 아파트 공급 편중 현상이 완화되는 데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주택 임대 수요가 늘면서 아파트는 물론 오피스텔 전세 구하기가 어려워졌다.

전세난을 피해 빌라를 찾는 이들이 늘면서 전셋값 상승세는 빌라로까지 번지고 있고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빌라 전셋값은 전년말 대비 3.31% 올라, 2006년 이후 9년째 상승세가 이어졌다.

요즘 청년층 1인 가구 사이에선 ‘셰어하우스’가 인기다.

이는 거실, 주방, 화장실 등을 함께 쓰고, 개인 방은 따로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임대주택이다. 주거비가 저렴하고 안정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어 혼자 살기 싫어하는 이들에게 좋다. 시장이 커지면서 전문 운영업체도 등장하고 있다.
 
남성현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퀀텀마인드, 차세대 멀티모달 AI '뉴럴링크 5' 공개...인간 수준 추론 능력 '주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글로벌 AI 선도 기업 퀀텀마인드가 오늘(11월 1일) 오전, 차세대 멀티모달 AI 모델 '뉴럴링크 5'를 공식 발표하며 전 세계 기술 커뮤니티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뉴럴링크 5는 기존 AI 모델의 한계를 뛰어넘어,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인간 수준에 근접한 복합적인 추론 능력을 선보인다는 점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고 있다. 이번에 공개된 뉴럴링크 5는 특히 단순한 데이터 결합을 넘어, 서로 다른 모달리티 간의 미묘한 관계와 맥락을 파악하는 데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퀀텀마인드 측은 데모를 통해 복잡한 시각적 정보를 분석하여 상세한 상황 설명을 생성하고, 음성 명령만으로 복합적인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며, 심지어 특정 상황에 대한 감정적 뉘앙스까지 이해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이는 산업 자동화, 의료 진단, 교육 콘텐츠 개발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잠재력을 시사한다. 뉴럴링크 5의 등장은 단순한 기술 발전을 넘어 사회 전반에 걸친 생산성 향상과 새로운 서비스 창출을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은 데이터 분석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