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中, 4년 뒤 한국식 커피전문점 2000개 증가



중국에 진출하는 국내 커피전문점들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 커피전문점들은 현지기업과 마스터프랜차이즈(MF;Master Franchise)계약을 통해 진출하여 비용부담을 줄인데다 한류를 활용하면서 중국 시장에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의 성공을 발판으로 세계를 무대로 넓히고 있다.

12일 타이완의 중국시보는 최근 2년간 중국에서 한국 커피전문점이 빠른 속도로 증가해 앞으로 4년 뒤인 2019년에는 현재의 2배인 2000개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며 보도했다. 실제로 최근 2년간 중국에서 카페베네, 만커피, 주커피 등 한국 브랜드 커피전문점들이 이미 1000개에 육박했다.

카페베네는 현재 중국 내 매장 수가 583개로 한국(928개)에 이어 2번째로 비중이 크다. 이외 미국(25개)과 대만(13개)을 비롯해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말레이시아 등에 진출해 있다. 카페베네는 올해 추가로 싱가포르, 브루나이, 태국, 라오스 등에 진출해 2017년 전 세계 4000개 매장, 2020년에는 1만개 매장을 오픈할 계획이다.

'동물원'이라는 테마가 결합된 주커피도 중국 후난성, 랴오닝성, 산둥성, 스촨, 상하이 등 중국 9개 성(省) 및 직할시(市)에 매장 개설을 위한 MF 계약이 체결된 상태다.

지난해 칭따오점을 오픈한 탐앤탐스는 올해 중국 충칭(중경)과 푸저우(복주)에 연달아 직영점을 오픈하고 있다. 탐앤탐스는 현재 중국 외에 미국, 태국, 호주 등 해외 6개국, 40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망고식스는 2013년 중국 연길에 첫 해외매장을 연후 2년 만에 중국과 미국, 러시아 등 4개국에서 총 8건의 마스터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하며 빠르게 사업 영토를 넓혀가고 있다. 지난해 5월 상해를 시작으로 MF 계약을 시작해 현재 총 20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이외 CJ푸드빌이 운영하는 투썸플레이스도 해외에서는 '투썸커피'라는 명칭으로 2012년 9월 이후 베이징과 상하이 등 대도시에 14개 점포를 운영 중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중국 진출 시 마스터프랜차이즈라는 방법을 쓴다는 것이다. 마스터프랜차이즈는 가맹사업자가 가맹희망자에게 일정 지역 내에서 가맹점 운영권을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다. 즉, 중국 현지기업과 손을 잡고 그들의 관리 하에 해외에 진출하다보니 중국 적응이 빨랐다. 사업 실패에 대한 부담도 나눌 수 있었다.

덕분에 국내 커피전문점들은 스타벅스가 중국 진출 후 14년만에 1000점을 돌파했던 것보다 7배 빠른 속도로 시장을 장악해나가는 것이다.

최근 한류 드라마 덕에 젊은 세대는 한국의 커피전문점에 친근함을 느끼고 있다. 망고식스의 경우 이민호를 한류스타로 만들어준 드라마 '상속자들'에 협찬을 해 한국 매장이 중국 요우커족의 관광명소로 자리잡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해외 진출을 고려할 때 아시아의 관문인 중국시장은 인구 수나 규모 면으로 볼 때 매력적"이라며 "차 문화가 지배적이었지만 최근 젊은 층을 바탕으로 커피 수요가 늘어나 커피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병주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