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구글 검색 점유율, 6년만에 최대폭으로 하락


구글의 검색시장 점유율이 지난 2009년 이래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스탯카운터의 자료에 따르면 2014년 12월 미국 검색시장에서 구글의 점유율은 75.2%로 전년도 79.3%에서 4.1%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야후의 점유율은 전년도 7.4%에서 10.4%로 늘어나 사상최대를 기록했다.

스탯카운터가 미국 검색시장 점유율을 조사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가장 큰폭으로 구글 점유율이 줄고 야후의 점유율이 늘어났다.



 


 

구글의 검색 점유율 하락은 지난해 11월 모질라와 야후간에 체결했던 파이어폭스 브라우저의 검색엔진 변경에 의한 것으로 분석됐다.
 
당시 모질라와 야후는 미국 지역에서 파이어폭스의 기본 검색엔진으로 구글 대신 야후를 쓰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오드란 쿨렌 스탯카운터 최고경영자(CEO)는 "모질라의 파이어폭스 검색엔진 교체가 미국 검색시장 점유율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고 말했다.

또한 애플이 모질라처럼 사파리 브라우저의 기본 검색엔진을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빙으로 바꾸거나 아마존이 킨들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의 웹브라우저 검색엔진을 통제할 경우 검색시장에서 구글의 입지는 더욱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중국의 바이두와 같은 세계 각지의 현지 검색업체들이 다른 국가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어 구글이 이전처럼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윤병주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