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中 여고생들의 '얼짱' 후배 집단구타, 관료 '처녀 성상납' 때문


중국의 여고생들이 학교 후배를 집단폭행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같은 폭행의 배후에는 공무원들에게 처녀를 찾아 성상납을 시켜주는 브로커와 연계된 것으로 알려져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중앙정법위원회 기관지인 법치주말(法治周末)의 보도에 따르면 산시성(陕西省) 우치현(吴起县)공안국은 지난해 9월 21일 저녁 우치고급중학(吴起高级中学)에서 발생한 여고생들의 집단 구타사건을 밝혔다.

공안국에 따르면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여고생 7명은 9월 21일 저녁 10시, 기숙사로 1학년 후배 1명을 불러 "예쁜 동기의 이름을 대라"며 집단 구타했다. 피해자는 결국 동기 4명의 이름을 댔고 이들은 차례로 끌려와 마찬가지로 구타를 당했다.

가해자들은 이들의 옷을 벗겼으며 협조하지 않으면 칼로 옷을 찢어 강제로 벗겼다. 옷을 벗긴 후, 휴대폰으로 나체 사진을 찍었으며 심지어 처녀성 여부를 검사하기까지 했다.

피해자의 학부모들은 "가해 여학생들이 우리 일에 협조하면 한번에 5천위안(90만원)을 벌 수 있는데 이 중 3천위안(54만원)은 우리에게 주고 나머지는 개인이 가지면 된다"며 "만약 이같은 사실을 선생님이나 부모에게 알리면 나체사진을 외부로 유포하겠다"고 협박했다.

피해자들은 기숙사에서 8시간여 동안 폭행, 성추행을 당한 뒤에야 풀려났다. 이들은 병원에 입원해 20일이나 입원한 끝에 퇴원할 수 있었다. 병원비만 1인당 1만위안(180만원) 넘게 나왔는데, 피해자 중 2명은 고막이 파열됐으며 아직도 후유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분노한 피해자 학부모들은 아이들의 학업문제, 치료비, 피해보상 등을 위해 지방정부, 교육국 등을 찾았고 현지 공안부문은 수사에 착수했다.

공안국은 지난해 11월 7일 홈페이지를 통해 "가해자 중 6명에게 모욕죄를 적용해 형사 구속시켰으며 나머지 1명은 만 16세가 되지 않아 형사처벌을 면제한다"고 밝혔을 뿐 폭행의 이유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하지만 피해자 학부모들은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이 처녀를 원하는 공무원들에게 성상납을 하는 브로커와 연계됐다"고 주장했다.

학부모들은 "가해자 중 2명의 은행카드에 각각 120만위안(2억1천만원), 80만위안(1억4천만원)이라는 거액이 입금돼 있는데 이는 '업체 사장'이 준 것"이라며 "문제의 사장은 처녀를 찾는 공무원에게 처녀를 연결시켜주는 일을 한다"고 말했다.

신문은 "이번 사건에 연루된 정부 관리자와 사장들이 누구인지, 사건 배후에 숨겨진 진상은 무엇인지에 대해 계속 보도할 것"이라고 전했다.

윤병주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