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1.0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PR Newswire

전 세계 선정된 20개 중 유일한 중국 원료! KT-939, 2025 NYSCC 인스피레이션 하이브 존 참여

쑤저우, 중국 2025년 5월 28일 /PRNewswire/ -- 2025년 뉴욕화장품화학자협회(NYSCC) 전시회에서 발표한 인스피레이션 하이브(Inspiration Hive) 존 전시 목록에서 킨토르(Kintor)의 혁신 원료 KT-939가 전 세계 수많은 원료 중 유일한 '중국 원료'로 선정됐다. KT-939는 애쉬랜드(Ashland), 디에스엠퍼메니쉬(DSM-Firmenich), 이스트먼(Eastman) 등 글로벌 산업 거물들과 경쟁하게 되며, 이는 중국 화장품 원료 연구개발이 글로벌 혁신의 선봉에 서있음을 보여주는 획기적인 이정표다.

2025 NYSCC 전시회는 오는 6월 3일부터 4일까지 뉴욕의 제이콥 자비츠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다. 세계 최대 B2B 뷰티 산업 행사인 NYSCC는 글로벌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산업의 트렌드를 선도하며, 원재료 공급망 통합과 최신 시장 트렌드 및 기술 소통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스피레이션 하이브 존은 글로벌 뷰티 트렌드 플랫폼 뷰티스트림즈(BEAUTYSTREAMS)와 NYSCC 공급업체의 날(NYSCC Suppliers' Day)이 공동으로 출범한 프로그램이다. NYSCC 전시회의 특별 존으로 마련된 인스피레이션 하이브는 뷰티 및 퍼스널 케어 산업에서 가장 혁신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원료와 기술을 선보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미래 소비자 트렌드와 일치하는 구성 요소와 혁신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번에 선정된 KT-939는 애쉬랜드, 디에스엠퍼메니쉬, 크로다(Croda), 루브리졸(Lubrizol), 이스트먼 등 글로벌 선도 기업의 혁신 제품들과 함께 전시되어 브랜드, 연구개발, 제형 개발 등 주요 산업 관계자들의 주목을 받을 예정이며, 지속가능성, 바이오기술, 맞춤형 케어 등 현재의 주요 트렌드와도 부합한다. 인스피레이션 하이브는 KT-939가 협력 기회를 탐색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관계를 구축하며 파트너십과 제품 개발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고급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이다.

이번 인스피레이션 하이브 존 참여는 킨토르의 기술 및 혁신 리더십과 KT-939의 우수한 효능과 시장 트렌드에서의 우위를 증명한다. 이는 브랜드 가치와 글로벌 영향력을 강화하는 결정적인 기회로, 업계 신뢰성과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EU 공급망 실사 지침 강화에 따른 국내 기업 ESG 경영 비상등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유럽연합(EU)의 공급망 실사 지침 강화 움직임이 국내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비상등을 켰다. 기존 대기업 위주였던 규제 적용 범위가 중견기업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국내 기업들은 공급망 전반에 걸친 ESG 리스크 관리에 대한 압박을 느끼고 있다. 이는 단순히 법규 준수를 넘어 기업의 지속가능성 및 평판에 직결되는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EU 이사회는 지난 10월,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협상안을 승인하며 공급망 내 인권 및 환경 실사 의무화를 더욱 구체화하고 있다. 이 지침은 기업이 자체 운영뿐 아니라 자회사 및 협력업체를 포함한 공급망 전반에서 인권 침해와 환경 파괴를 예방, 식별, 완화하며 보고하도록 의무화한다. 특히, 일정 규모 이상의 기업뿐만 아니라 고위험 산업군에 속하는 중소·중견기업까지 적용될 가능성이 제기되어 국내 기업들의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국내 기업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한 준비가 시급하다. 특히 중견기업의 경우 ESG 전담 조직이나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 복잡한 EU의 실사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