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PR Newswire

블루핀, ISO 14001:2015 인증 획득으로 환경 책임 강화

라파예트, 캘리포니아주, 2025년 4월 15일  /PRNewswire/ -- 블루핀(BlueFin)이 세계적 인증 기관 DNV으로부터 ISO 14001:2015 인증을 획득했다고 오늘 발표했다. 블루핀은 직원이 지분 100%를 소유한 GATE 에너지(GATE Energy)의 계열사이자 에너지 업계에 현장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력 기업이다. 
 이번 인증은 환경에 대한 책임과 지속 가능한 사업 방식을 향한 블루핀의 의지를 보여주는 결과물이다. 

블루핀은 탁월한 품질과 안전성을 바탕으로 2023년에 DNV를 통해 ISO 9001:2015와 ISO 45001:2018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이후 환경 관리에도 눈을 돌려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환경 표준에 맞춰 기업 활동을 영위하기 시작했다. 

크리스탈 요스(Crystal Yoes) 블루핀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산업 부문 사장은 "이번 인증 획득은 품질과 안전을 최고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최소화하겠다는 블루핀의 의지가 보상을 받은 것이다. 운영 효율을 높이면서도 업계의 지속 가능한 미래에 기여하는 업무준칙을 마련했다는 데서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ISO 14001:2015 인증은 효과적인 환경 관리 시스템(EMS)의 기준이 되는 제도로서 조직은 이 인증에 따라 자원 효율을 개선하고 폐기물을 줄이고 환경 법규를 준수할 수 있다. 블루핀은 이번 인증을 계기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는 한편 고객과 함께 환경 목표를 달성해 나아갈 방침이다. 

또 앞으로도 혁신, 무결성, 지속가능성이라는 가치를 지키면서 글로벌 환경 기준과 규정에 맞게 기업 활동을 전개해 나아갈 계획이다. 

블루핀 소개  

블루핀은 직원이 100% 지분을 소유한 GATE 에너지의 계열사이자 GATE 에너지의 현장 서비스 사업부이다. 에너지 시설과 자산의 준공과 플러싱, 테스트, 청소, 연결성 강건성 서비스을 제공한다. 주력 서비스는 파이프라인, 프로세스 배관, 엄빌리칼의 시공과, 사전 시운전, 시운전, 해체이다. 운영 유지보수 현장 서비스의 대상은 육상 및 해양 프로세스 시설, 파이프라인, 산업 플랜트 등이다. 

더 자세한 사항은 www.bluefin.energy에서 확인할 수 있다. 

GATE 에너지 소개  

GATE 에너지는 직원이 100% 지분을 소유한 ESOP로 에너지 업계에 예측 가능한 프로젝트 인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파라메트릭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비용과 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에너지 시설과 자산을 설계, 건설, 시운전, 가동하고, 프로젝트 설계 단계에서 운영 문제를 적극 해소하여 프로젝트를 엄격하게 관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GATE 에너지에 관해 더 자세한 사항은 www.bluefin.energy에서 확인할 수 있다. 

로고 - https://www.dailyan.com/data/photos/newswire/202504/art_701911_1.jpg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열악한 노동 환경 문제 심각… 정부 대책 효과 미흡 논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야외 작업장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잇따른 온열 질환 발생과 열사병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보고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휴식 시간 확보, 작업 환경 개선 등을 권고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이러한 대책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건설 현장이나 택배 배송 등 야외 작업 환경은 열악한 경우가 많아 노동자들의 피해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계에서는 정부의 대책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하며, 더 강력한 법적 규제와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폭염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문제도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일부 기업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생산 차질을 이유로 인력 감축을 시도하는 사례도 보고되면서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폭염으로 인한 노동 환경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노동자 간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과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