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18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올 한해 전국 아파트값 2.43%, 전세 4.36% 상승


올 한해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2.43%, 전세가는 4.36%씩 각각 올랐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2014년 전국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2.43%를 기록, 2013년(0.33%)보다 2.1%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이는 2012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1.81%) 5개광역시(3.62%) 기타 지방(2.59%) 등 전 지역에서 매매가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시 중에서는 대구(8.3%)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시·군·구 단위로는 대구 수성구(14.41%) 경산(11.28%) 청주 흥덕구(9.95%) 울산 동구(9.57%) 대구 남구(9.18%) 순으로 조사됐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4.3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5.41%), 5개광역시(3.28%), 기타지방(2.84%) 순이었다. 시·군·구 단위로는 대구 수성구(10.08%) 울산 동구(8.90%) 인천 연수구(8.89%) 대구 서구(8.68%) 경산(8.12%) 순으로 조사됐다.

12월 전국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은 전달보다 0.4%포인트 상승하면서 70.0%를 기록했다. 국민은행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98년 12월 이후 17년만에 최고점을 연이어 경신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65.7%)의 경우 성북구(73.0%) 서대문구(71.8%) 등과 함께 동대문구(70.3%) 관악구(70.3%) 동작구(70.1%) 광진구(70.0%) 중구(70.0%) 등의 전세가율이 70%를 넘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전세가율이 계속 높아지는 이유는 저금리로 인한 임대인의 월세선호 현상으로 월세 및 반전세의 증가 등 수요대비 전세물량 부족으로 인해 전세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윤준식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ESG 공시 의무 강화,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 시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전 세계적으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공시 및 실사 의무가 강화되면서 한국 기업들이 새로운 전환점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 지침(CSDDD) 등 국제적인 규제들이 고도화되면서, 국내 기업들은 수출 및 글로벌 공급망 유지를 위해 더욱 철저한 ESG 경영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최근 EU 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논의되는 CSDDD는 기업이 인권 및 환경 측면에서 자사의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식별하고 예방, 완화하도록 의무화한다. 이는 유럽 내 대기업뿐만 아니라 유럽 시장에 진출하거나 유럽 기업과 거래하는 비EU 기업들에게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공급망 내의 중소기업까지 ESG 리스크 관리를 확대해야 함을 의미한다. 과거의 자율적인 공시를 넘어, 이제는 법적 구속력을 가진 강제적인 실사 의무가 도래하는 것이다. 이러한 규제 환경의 변화는 한국 기업들에게 이중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먼저, 복잡하고 다양한 해외 규제에 대한 이해와 준수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자체적인 ESG 성과 관리뿐만 아니라 협력사의 ES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