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성인 남녀 55%가 연말증후군


우리나라 남녀의 절반 이상이 ‘연말증후군’을 겪고 있으며, 특히 3040 세대가 이에대해 느끼는 강도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대표 최인녕)이 10대에서 50대 이상까지 남녀 2,11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55%가 현재 ‘연말증후군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연말증후군’은 매년 12월이 되면 감정의 기복과 스트레스가 잦아지는 증상을 일컫는 말로 이 같은 현상은 3040 세대 연령층과 구직중인 응답자들에게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연말증후군을 겪고 있는 비율은 10대가 37.6%로 가장 적고 20대(56.7%)와 50대 이상(59.4%)이 비슷한 수치를 보인 반면, 중간 연령층인 30대(70.9%)와 40대(71.2%)는 10명중 7명 이상이 이 같은 증상을 겪는 것으로 나타나 큰 대비를 보였다.

또 ‘구직자’(68.8%), ‘직장인’(65.7%), ‘학생’(46.4%) 순으로 연말증후군을 자주 겪는다고 대답해, 전반적으로 사회활동이 많은 3·40대와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구직자들이 연말증후군에 쉽게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심하게 겪는 증상으로는 ‘연초에 계획했던 것을 실천하지 못한 자책감’이 25.2%로 1위에 오른 가운데, ‘새해에 무언가를 잘해야겠다는 중압감’(18.9%), ‘많은 사람과 있어도 괜히 외롭고 쓸쓸함’(17.7%)이 근소한 차이로 2, 3위에 올랐다.

이어 ‘연인이 없어 우울함’(12%), ‘다른 사람과 비교되는 자리에 대한 스트레스’(10.9%), ‘약속이 없어 우울함’(8.7%), ‘잦은 모임과 업무로 금방 피곤함’(6.8%)과 같은 증상을 겪는다는 응답이 이어졌다.


연령별로 보면 ‘새해에 무언가를 잘해야겠다는 중압감’은 20대(20.4%)가 전 연령 중 가장 크게 겪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인이 없어 우울함’을 겪는 비율은 ‘10대’ 16%, ‘20대’ 11.9%, ‘30대’ 11.3%, ‘40대’ 8.9%, ‘50대 이상’ 5.7%로 나이가 어릴수록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로 보면 남성의 경우 ‘연인이 없어 우울함’을 겪는 비율이 15.8%로 여성(9%)에 비해 2배 가까이 더 많아 대조를 이뤘다.

현재 자신의 구직상태별로 보면 ‘직장인’의 경우 ‘잦은 모임과 업무로 금방 피곤함’을 선택한 비율이 14.8%로 학생(5.7%)에 비해 2.6배, 구직자(3.1%)에 비해서는 4.8배 많아 직장인의 대표적인 연말증후군 증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취업 활동에 시달리는 구직자의 경우 ‘다른 사람과 비교되는 자리가 많은 스트레스’가 15%로 직장인(10.8%), 학생(8.5%)과 구별되는 눈에 띄는 연말증후군 증상으로 꼽혔다.

윤병주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