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하버드대, 세계 최고 지도자감은 시진핑


 
시진핑(习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 명문 하버드대가 실시한 세계 지도자 이미지조사에서 다른 지도자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대한민국의 박근혜대통령은 거론조차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는 미국 하버드대학 케네디정부관리학원 애쉬센터가 최근 30개국에서 주요 10개국 지도자의 지명도, 관심도, 지지도, 신뢰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시진핑 주석은 국내 지지도 면에서 10개국 지도자 중 유일하게 9점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 시 주석 다음으로는 푸틴(8.7점)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8.6)점, 제이콥 주마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7.0점) 순으로 나타났다.

30개국의 지지도 종합평가에서도 시진핑이 평균 7.5점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다음으로 나렌드라 모디 총리, 메르켈 독일 총리, 제이콥 주마 대통령 순으로 나타났다.

애쉬센터 측은 "시진핑 주석은 일본을 제외한 대다수 국가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며 "아시아, 아프리카, 동유럽 대부분 국가 국민으로부터 좋은 평가를 얻었다"고 밝혔다.


시 주석의 국내 및 국제정책에 대한 자국국민 신뢰도도 각각 94.8%, 93.8%를 기록해 10개국 주요 지도자 중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나렌드라 모디 총리(93.2%, 93.3%), 3위는 푸틴 대통령(86.2%, 86.0%)였다.

신문은 "시 주석은 국내정책 분야와 관련해 30개국 '종합평가'에서도 일본은 제외한 아시아 국가와 아프리카 국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미국에서는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1.3%가 시 주석이 국제문제 처리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인지도 부문에서는 오바마 대통령, 푸틴 대통령, 카메론 영국 수상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한국·중국·일본·베트남·싱가포르·말레이시아·태국·파키스탄·인도 등 아시아 12개 국가, 케냐·탄자니아·남아공·아이티 등 아프리카 4개국, 미국·캐나다·브라질·칠레 등 미주 4개국, 러시아·우크라이나·프랑스·영국·스페인·독일·이탈리아 등 유럽 8개 국가, 호주·뉴질랜드 등 오세아니아 2개국 등 30개 국가에서 이뤄졌다.

10개국 주요 지도자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푸틴 러시아 대통령, 오바마 미국 대통령, 카메룬 영국 수상,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메르켈 독일 총리, 아베 신조 일본 수상, 모디 인도 총리, 주마 남아공 대통령, 지우마 호세프 브라질 대통령이었다.

윤병주 기자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취약계층 지원 정책, 실효성 논란과 개선 방안 모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올 여름 유례없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취약계층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폭염쉼터 운영 확대, 무더위 쉼터 지원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폭염쉼터의 접근성 문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많은 폭염쉼터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위치하거나, 운영 시간이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을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이 많다.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장애인의 경우 폭염쉼터를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또한 폭염쉼터의 시설 및 운영 관리에도 문제점이 존재한다. 일부 쉼터는 냉방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거나, 관리가 부실하여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폭염쉼터의 실효성을 떨어뜨리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과 함께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먼저 폭염쉼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대중교통 접근성이 좋은 곳에 쉼터를 설치하고, 이동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또한 쉼터의 시설 개선과 운영 관리를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