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대구

영진전문대, '2024 해외취업박람회'개최...해외 16개 기업 참여

국내 대학 유일한 자체 해외취업박람회, 인재 선점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김재욱 기자 | 영진전문대학교는 26일 대학 마이스터관에서 '2024 영진전문대 해외취업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며 해외취업 전국 1위 대학으로서 입지 굳히기에 나섰다.

 

이 대학교는 '글로벌 영진!, 세계를 무대로 활약한 글로벌 인재'를 양성한다는 목표로 지난 2016년부터 국내 대학에서 찾아보기 드문 자체 해외취업박람회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올해 박람회에는 일본 후쿠오카에 본사를 둔 핫코우 오토메이션을 비롯해 IT, 전자, 기계, 관광 분야 등 일본 16개 기업 관계자 20여 명이 영진전문대를 찾아, 기업설명회와 채용 면접을, 일부 회사는 온라인 화상 면접을 갖는 등 우수 인재 선점에 발 벗고 나섰다.

 

박람회에는 컴퓨터정보계열, AI융합기계계열, 반도체전자계열, 관광호텔항공과 등 해외취업반 재학생 200여 명이 참석해 해외 기업의 사업 내용과 인사·복지 제도, 채용 분야 등에 대한 설명회에 귀를 기울였고, 개별 면접에도 참여하며, 해외취업에 대한 의욕을 북돋웠다.

 

이날 박람회 참가 기업 중 주목을 끈 기업은 핫코우 오토메이션. 이 회사는 반도체제조 공정 자동화 설비 전문기업이다. 현재 종업원은 100여 명이지만 설립 50년을 넘는 탄탄한 기술 기반 기업이다.

 

이 회사는 올해 2월 영진전문대 우수 인재를 입도선매(立稻先賣)하기 위해 대학을 찾아, '국제연계주문식교육' 협약 체결에 이어 통 큰 장학금 1억 원을 쾌척했다.

 

이날 영진 복현캠퍼스를 직접 찾은 이 회사 오노 카즈오 대표는 복현캠퍼스에서 AI융합기계계열, 반도체전자계열 학생들을 만나 기업 소개와 면접한 데 이어 이 대학교 글로벌캠퍼스도에서도 컴퓨터정보계열 일본IT과 학생들과 만남의 시간을 가졌다.

 

오노 카즈오 대표는 "우리 회사에 근무하고 있는 영진 출신 졸업생 3명이 전공 실무와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잘 겸비하고 있어 시스템 설계개발 및 관리 업무를 잘 한다고 사내에서 아주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앞으로 영진과 산학연계를 통해 우수 인재 채용을 확대하고 싶다"고 말했다.

 

대표와 동반 내한한 김태헌 씨(2024년 졸업, 입사)는 "기술 기반이 탄탄한 회사에서 일하는 게 매일매일 흥미롭고 도전한다는 기분이 든다. 오늘 후배들을 만나 해외취업에 대한 메시지를 전할 수 있게 돼 뿌듯하다"고 했다.

 

한편, 영진전문대는 전국 대학 중 해외취업 전국 1위로 2년제·4년제 대학을 압도하고 있다. 최근 6년(2017~2022년)간 일본 576명, 호주 45명을 비롯해 중국, 미국, 뉴질랜드, 싱가포르 등 총 632명이 글로벌 기업에 진출했다.

 

특히 이 대학교는 올해 AI 기술과 시스템 제어 융합기술을 중점으로 학습하는 글로벌시스템융합과를 신설해 일본, 미국 등에서 활약할 글로벌 인재 양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전상표 국제교류원장은 "이번 해외취업박람회가 청년들에게는 꿈과 희망을, 해외 기업에는 우수한 인재 발굴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더 많은 학생이 글로벌 무대에서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우 피해 지원, 정부의 속도전과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폭우로 인한 피해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정부와 시민들의 대응이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피해 복구 지원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 또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이번 폭우는 예상치 못한 강도와 규모로 인해 많은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했다. 정부는 피해 현황 파악과 지원 체계 구축에 힘쓰고 있다. 재난 구호 물품 지원, 이재민 임시 거주 시설 제공 등 긴급 지원에 나섰으며, 피해 지역에 대한 복구 작업도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피해 규모가 워낙 크고 복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어 장기적인 지원 계획 수립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와 함께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봉사단체와 개인들이 앞다투어 피해 지역에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온라인을 통해 성금 모금 운동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는 피해 복구에 큰 힘이 되고 있으며, 사회적 연대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주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지원의 손길이 제대로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접근이 어려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