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맑음인천 26.2℃
  • 맑음수원 26.7℃
  • 흐림청주 24.3℃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구름조금전주 26.4℃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흐림여수 23.1℃
  • 제주 24.5℃
  • 구름조금천안 26.0℃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2024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 사회자, 시상자 및 축하공연 공개

2024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 (Asia Contents Awards & Global OTT Awards)가 사회자 및 주요 게스트를 공개했다.

2024 ACA & G.OTT어워즈, 화려한 라인업으로 기대감 고조!

 

2024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가 사회자로 배우 강기영과 티파니 영을 확정했다. 강기영은 최근 『끝내주는 해결사』의 주연으로 활약하며, 공개 2주 만에 아시아 6개국 톱10 차트에 진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2022 ACA 베스트 콘텐츠를 수상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2022)를 비롯해 다양한 작품에서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이고 있다. 티파니 영은 『재벌집 막내아들』(2022)과 뮤지컬 『시카고』 등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하며 만능 엔터테이너로서 입지를 굳혔다. 최근에는 『삼식이 삼촌』으로 2024 ACA & G.OTT어워즈 신인상(여) 후보에 오르며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

사회자와 함께 화려한 시상자 라인업도 공개되었다. 작년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의 주연 배우상(남)과 신인상(남)을 받은 『무빙』(2023)의 류승룡과 이정하, 인기상을 받은 진연비가 시상자로 나선다. 또한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2016), <소년시절의 너>(2019)를 통해 최연소로 중화권 3대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받은 배우 주동우가 시상자로 나설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나의 소녀시대>(2015)로 부산을 방문한 배우 송운화와 <괴짜들의 로맨스>(2020), <메리 마이 데드 바디>(2022)로 국내에 이름을 알린 배우 임백굉까지 시상자로 나서며 화려한 라인업을 채웠다. 이 밖에 <복사기>(2021)와 <가스퍼의 24시간>(2023)으로 스크린과 OTT를 넘나들며 인플루언서에서 배우로 성장한 쉐니나 시나몬과 화제작 <자서전>(2022)으로 인도네시아 차세대 배우로 발돋움한 유숩 마하르디카가 시상자로 자리를 빛낼 예정이다.

글로벌 스타들과 함께하는 시상식 현장에 더욱 풍성한 즐거움을 더할 축하공연도 마련된다. 2018년 데뷔부터 탄탄한 실력을 인정받아 온 밴드 너드커넥션과 세계를 무대로 활동하고 있는 트라이비(TRI.BE)가 야외극장 무대에서 화려한 공연을 선보이며 시상식의 열기를 더욱 고조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올해 신설된 ‘피플스 초이스상’은 키노라이츠를 통해 글로벌 시청자들이 약 60만 표의 지지를 보내며, 『선재 업고 튀어』의 배우 김혜윤과 변우석이 수상을 확정지었다. 한층 차별화된 콘텐츠 시상식으로 거듭나는 2024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는 10월 6일(일) 오후 6시 영화의전당 야외극장에서 개최된다,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오성환 기자 |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ESG와 환경] 호주 기후위험 평가, “다중 위협이 경제·사회에 파괴적 충격”… 한국에도 경고음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제 기자 | 호주 정부가 최근 발간한 국가 기후 위험 평가 보고서에서 기후 변화가 초래하는 복합적 위협이 경제와 사회 전반에 심대한 충격을 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번 평가 결과는 호주만의 문제가 아닌,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각국에 경고 신호를 던지고 있다. 보고서는 기후위기가 단일 사건이 아닌 “연쇄적(cascading)”이고 “중첩적(compounding)” 방식으로 전개된다고 진단했다. 폭염으로 인한 대규모 사망 증가, 산불과 가뭄이 불러오는 생태계 붕괴, 해수면 상승에 따른 연안 도시 침수 위험, 그리고 식량 공급망·사회 인프라 피해가 복합적으로 얽히며 피해 규모를 기하급수적으로 키운다는 것이다. 특히 호주는 최근 몇 년간 기록적인 폭염으로 보건 시스템이 압박을 받았고, 농업 생산성 감소와 수자원 불안정으로 장기적인 식량 위기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경제적 비용과 사회적 부담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호주 사회의 지속가능성에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호주 기후위협, 한국에 경고 메시지호주의 사례는 한국에도 직접적인 경고가 된다. 한국은 이미 폭염으로 인한 온열 질환 사망자 증가, 한강·낙동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