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한국경영자협회, 한몽 비즈니스 매칭 포럼 개최 예정

데일리연합 (SNSJTV. 아이타임즈M) 조성윤 기자

 

한국경영자협회는 몽골 정부와 협력하여 내년 1월 6일 시흥 웨이브엠호텔에서 한몽 기업체 간 원스톱 비즈니스 매칭 포럼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포럼은 몽골 정부가 전략적으로 추진하는 12개 SOC 기간산업에 한국 기업의 공동사업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중요한 행사로, 양국 간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몽골 정부는 한국 기업이 몽골 기업과의 공동사업이나 컨소시엄 사업을 통해 몽골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번 포럼에서 다루어질 주요 지원 업종은 다음과 같다: 동물 사료 재배 및 생산, 울과 캐시미어 세탁 공장 운영, 가죽 부산물 생산, 감자 및 고급 야채의 재배와 가공, 유제품 생산 및 집중 낙농장 운영, 건자재 생산(블록, 콘크리트 등), 지역 특성에 맞는 브랜드 제품 및 기념품 개발, 관광 및 호텔 산업, 밀가루 및 구운 식품 생산, 자동차 수리 및 부품 서비스, 집약적 축산업의 품종 개선, 육류 제품의 생산 및 가공 등이다.


김덕원 한국경영자협회 대표는 이번 포럼을 통해 몽골의 12개 전략산업 분야에 한국의 첨단 기술 기업들이 기술 협력 및 합작 투자, ODA 공적 자원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산업 간 협업을 이루어낼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한몽 기업체 간의 협업을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로 나아가 양국이 상생하는 동반자 관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한몽 국제 경제문화교류 포럼을 통해 한몽 기업체 간 비즈니스 매칭 포럼을 지속적으로 확대 발전시킬 계획이며, 

이는 동남아의 베트남에 10,000개 이상의 한국 기업이 진출해 경제 성장을 이룬 사례를 참고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몽골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유수의 한국 기업들이 몽골에 진출하고, 몽골의 전략산업이 내수 시장에서 한국의 첨단 기술 제품을 통해  유라시아 시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포럼은 한몽 간의 경제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양국의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고령화 사회 심화, 노인 복지 사각지대 해소 위한 혁신적 접근 시급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대한민국 사회의 급격한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노인 복지 시스템의 한계와 사각지대 문제가 날로 부각되고 있다. 기대 수명 증가와 출산율 감소라는 이중고 속에서, 노인 인구의 삶의 질 보장과 사회적 안전망 구축은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특히 경제적 어려움과 건강 문제를 동시에 겪는 취약 계층 노인들은 복지 혜택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 정부와 지자체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복지 서비스 정보의 부족, 신청 절차의 복잡성, 그리고 지역별 편차 등으로 인해 필요한 지원을 받지 못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들은 고독사, 빈곤 심화 등 심각한 사회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전문가들은 기존의 단편적인 복지 정책으로는 현재의 복합적인 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단순히 경제적 지원을 넘어, 의료, 돌봄, 주거, 심리 상담 등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노인들이 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립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예방적 복지 시스템 구축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민간 부문과의 협력 강화가 필수적이다. 기업의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