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워크데이, 2025 회계년도 2분기 실적 발표... 16.7% 매출 성장

2분기 총 매출 2조 7,679억 원, 전년 대비 16.7% 증가
구독 매출 2조 5,315억 원, 전년 대비 17.2% 증가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 곽중희 기자 | 워크데이(Workday, NASDAQ: WDAY)가 2025 회계년도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실적은 2024년 7월 31일에 마감된 2025 회계년도 2분기 재무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이번 분기에서 워크데이는 총 매출 약 2조 7,679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6.7%의 성장률을 보였다. 특히, 구독 매출은 약 2조 5,315억 원으로, 이는 전년 대비 17.2% 증가한 수치다. 구독 매출은 워크데이의 주요 수익원으로, 이번 실적에서도 회사의 성장 모멘텀을 뒷받침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영업 이익 역시 큰 폭의 성장을 보였다. 이번 2분기 워크데이의 영업 이익은 1,474억 원으로, 매출 대비 5.3%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의 영업 이익 478억 원(매출의 2.0%)과 비교해 큰 폭으로 개선된 수치다. 비일반회계기준(non-GAAP)에 따른 2분기 영업 이익은 6,878억 원으로 매출의 24.9%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의 5,586억 원(매출의 23.6%)보다 높은 수준이다.

 

순이익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성과를 보였다. 이번 분기 희석주당순이익은 646원으로, 전년 동기의 396원에서 크게 증가했다. 비일반회계기준에 따른 희석주당순이익은 2,309원으로, 전년 동기의 1,887원을 상회했다.

 

워크데이의 12개월 구독 매출 수주잔고는 8조 96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1% 증가했다. 총 구독 매출 수주잔고는 26조 2,434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9%의 성장을 기록했다. 이러한 수치는 워크데이가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유지하면서도 성장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현금흐름도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7,544억 원으로, 전년도의 5,617억 원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잉여현금흐름 역시 6,820억 원으로, 전년도의 4,758억 원 대비 현저히 개선된 모습이다.

 

워크데이는 또한 자사주 취득 프로그램을 통해 클래스 A 보통주 약 140만 주를 4,073억 원에 취득했다. 이번 자사주 매입은 회사의 주주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풀이된다.

 

한편, 워크데이는 2024년 7월 31일 기준으로 9조 7,028억 원에 달하는 현금, 현금등가물 및 유가증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추가적인 성장을 위한 안정적인 재무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심화: 생성형 AI의 저작권 및 책임 논쟁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및 책임 소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AI가 저작권을 침해했을 경우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족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AI가 기존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논란이 발생한다. AI 개발사는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저작권자들은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며 법적 분쟁을 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질이 향상되면서 저작권 침해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 저작물과 매우 유사하지만, 법적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계선상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저작권 분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