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1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보도자료

태니엄, 포브스 2024 클라우드 100에 9년 연속 선정

글로벌 보안과 디지털 혁신에 앞장서며 20위 차지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 곽중희 기자 | 태니엄(Tanium)이 포브스(Forbes)가 발표한 2024 클라우드 100 리스트에 9년 연속으로 이름을 올렸다.

 

태니엄의 CMO 스티브 다헵(Steve Daheb)은 “우리는 불확실한 시대에 확실성을 제공하는 것을 우리의 사명으로 삼고 있다. 태니엄은 복잡성과 위험이 증가하는 현대의 IT 환경에서 가장 보안에 강력한 의지를 가진 조직들을 보호하고, 그들이 디지털 혁신을 원활하게 실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독보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태니엄 클라우드는 다양한 규모의 조직들이 IT 환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자율 엔드포인트 관리(AEM)를 도입하여 일상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고, 위협 대응을 간소화하는 동시에 맞춤형 정보와 AI 기반 인사이트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태니엄 플랫폼은 단일 플랫폼에서 IT 운영 및 보안 팀을 통합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실시간 제어 및 가시성을 통해 글로벌 클라우드 엔드포인트에서 필요한 변경 사항을 자동으로 권장하고 적용할 수 있다.

 

포브스의 알렉스 콘라드(Alex Konrad) 편집장은 “포브스 클라우드 100 리스트는 AI, 업무용 소프트웨어, 인프라,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기업들을 발굴해왔다. 올해 리스트는 특히 경쟁이 치열했으며,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의 IPO 성공을 이끌어낼 가능성이 높은 기업들로 구성됐다”고 설명했다.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의 메리 도노프리오(Mary D'Onofrio) 파트너는 “올해 클라우드 100 리스트의 가치는 무려 8200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클라우드 100 역사상 가장 높은 수치다. AI 기업들이 빠르게 확장하며 클라우드와 차세대 성장을 혁신하는 모습을 보며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고 말했다.

 

2024 클라우드 100 리스트는 포브스와 베세머 벤처 파트너스, 세일즈포스 벤처스가 매년 발표하며, 클라우드 산업에서 최고의 프라이빗 기업들을 선정하기 위해 수백 개의 기업들로부터 제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된다.

 

선정 기준에는 시장 리더십, 추정 가치, 운영 지표, 인력 및 문화가 포함되며, 심사 과정에서 퍼블릭 클라우드 기업의 CEO들로 구성된 자문 위원회의 평가도 반영된다.

 

2024 클라우드 100 리스트와 라이징 스타 20개 기업 리스트는 포브스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리스트의 하이라이트는 포브스 매거진 2024년 8, 9월호에도 게재될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심화: 생성형 AI의 저작권 및 책임 논쟁 확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생성형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저작권 침해 및 책임 소재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저작권이 누구에게 귀속되는지, AI가 저작권을 침해했을 경우 책임은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 부족하여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AI가 기존 저작물을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유사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저작권 침해 논란이 발생한다. AI 개발사는 학습 데이터의 저작권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저작권자들은 자신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며 법적 분쟁을 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AI 기술 발전의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더욱이, AI가 생성한 콘텐츠의 질이 향상되면서 저작권 침해를 구별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기존 저작물과 매우 유사하지만, 법적으로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계선상의 콘텐츠가 증가함에 따라, 저작권 분쟁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다. 이는 AI 기술 발전의 속도를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