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8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고용노동부, 회사가 폐업되면 임금과 퇴직금은 어떻게 되나요?

 

데일리연합 (아이타임즈M 월간한국뉴스신문) 기자 | [고드래곤의 상담소]

 

회사의 폐업으로 임금과 퇴직금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걱정하지 마세요!

퇴직한 근로자가 지급받지 못한 임금 등의 지급을 청구하면 고용노동부 장관이 사업주를 대신해 미지급 임금 등을 지급하는 ‘대지급금 제도’가 있거든요!

 

대지급금은 도산대지급금과 간이대지급금으로 나눠지는데요. 오늘은 폐업으로 인해 받을 수 있는 도산대지급금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도산대지급금에서 ‘도산’은 어떤 경우에 인정되나요?

 

도산은 크게 재판상 도산과 사실상 도산 으로 나뉘어져 있는데요!

- 법원에 의한 재판상 도산

- 지방고용노동관서에 의한 도산등사실인정(사실상 도산)

사실상 도산의 경우, 퇴직한 다음날부터 1년 이내 지방고용노동관서를 통해 ‘도산등사실인정’을 승인 받은 이후에 대지급금 지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도산대지급금은 누구나 신청이 가능한가요?

 

기업의 도산으로 급여및 퇴직금을 지급 받지 못하고 다음 요건을 충족하는 퇴직 근로자라면 신청 가능해요

① 근로기준법상 근로자에 해당

② 퇴직기준일의 1년 전이 되는 날 이후 3년 이내에 해당 사업장에서 퇴직

③ 파산선고결정, 회생개시결정 또는 도산등사실인정이 있는 날부터 2년 이내 신청

 

도산대지급금의 지급 범위가 궁금해요!

 

퇴직 전 최종 3개월 간 임금 + 최종 3년간의 퇴직급여

* 연령에 따라 최대 월정 상한액의 차이가 있어요!

- 30세 미만 : 220만 원

- 30세 이상 40세 미만 : 310만 원

- 40세 이상 50세 미만 : 350만 원

- 50세 이상 60세 미만 : 330만 원

- 60세 이상 : 230만 원

 

도산대지급금 청구/지급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대지급금의 확인 신청서, 도산대지급금 지급청구서 제출(지방고용노동관서)

→ 도산대지급금 지급청구서를 받은 날부터 7일 이내 계좌 송금 (근로복지공단)

 

Ⅴ 청구 신청이 어렵다면?

※ 상시근로자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이라면 “대지급금 조력지원 제도”를 통해 공인노무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 퇴직 전 월평균보수 350만 원 이하인 근로자에 한 함

 

자세한 내용은 고용24또는 근로복지공단을 참고해주세요!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구미시, 시각장애인과 함께 '흰지팡이의 날' 기념 복지대회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김준 기자 | 구미시는 10월 28일 구미시장애인체육관에서 (사)경북시각장애인연합회 구미지회(지회장 양성재) 주관으로 ‘제46회 흰지팡이의 날 기념 구미시각장애인복지대회’를 열었다. 행사에는 시각장애인과 자원봉사자, 내빈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흰지팡이의 날(10월 15일)’을 기념해 시각장애인의 재활과 자립 의지를 되새기고, 사회의 인식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식전 공연으로 막을 올린 대회는 흰지팡이의 날 헌장 낭독, 유공자 표창과 감사패 전달, 흰지팡이 지원금 전달 순으로 진행됐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오늘 행사가 시각장애인 여러분께 희망과 용기를 전하고, 함께 소통하며 화합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며 “시에서도 재활과 자립을 위한 지원을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사)경북시각장애인연합회 구미지회는 1980년 설립된 단체로, 시각장애인의 권익 향상과 복지증진을 위해 생활이동지원센터 운영, 점자교육, 스마트폰 활용교육, 체육교실 등 다양한 재활·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