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구직자의 월평균 수입의 이상과 현실 차이는 ‘183만원’

취업포털 파인드잡(대표 최인녕 www.findjob.co.kr) 20대 이상 성인남녀 1,349명을 대상으로월평균 가구수입 현황을 조사한 결과 실제 가구수입은 ‘336만원인데 비해희망수입은 현재보다 약 1.5배 높은 ‘519만원으로 ‘183만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분포로는 ‘250만원 미만 42.9%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2 ‘250만원 이상~300만원 미만’(15.1%), △3 ‘300만원 이상~ 350만원 미만’(12.1%), △4 ‘35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9.2%), △5 ‘45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5.7%)순이었다.

 

그 외 △‘400만원 이상~450만원 미만’(5.5%),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3.6%), △‘600만원 이상~700만원 미만’(2.7%). △‘700만원 이상~800만원 미만’(1.6%), △‘800만원 이상’(1.6%)순서로 분포됐다.

 

결혼유무에 따라서는기혼자 345만원, ‘미혼자 316만원으로 기혼자가 약 29만원 더 높았다.

 

특히 ‘250만원 미만소득자가기혼자 33.8%, ‘미혼자 62.6%로 미혼자가 약 2배 가까이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기혼자 550명 중아이가 있는 가정 344만원, ‘없는 가정 348만원으로 아이가 없는 가정의 소득이 4만원 가량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월평균 희망 가구수입 519만원으로 나타난 가운데 ‘400만원 이상~500만원 미만 24.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어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22.2%), △‘300만원 이상~400만원 미만’(18.5%), △‘300만원 미만’(10.8%), △‘600만원 이상~700만원 미만’(8.2%) 순이었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기혼자’ 506만원, ‘미혼자’ ‘529만원으로 미혼자의 희망 금액이 기혼자보다 23만원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500만원 이상희망자는기혼자’(43.8%) 보다미혼자’(47.2%)가 약 3.3%P가량 더 높았으며, ‘1000만원 이상역시기혼자’ (3.6%)보다미혼자’(6.9%)가 약 2배 가량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액의 수입을 꿈꾸는 싱글족이 많은 것으로 추측됐다.

 

특히미혼여성의 경우 ‘500만원이상~600만원 미만’(26.4%)에 가장 높은 분포도를 보였으며 희망수입도 538만원의 최고 기대치를 보여 넉넉한 살림의 가정을 꿈꾸는 싱글녀가 많은 것으로 추측됐다.

 

기혼자 중아이가 있는 가정’(503만원)없는 가정’(527만원) 보다 희망소득이 약 24만원 낮았으며, ‘1000만원 이상희망자 역시아이 없는 가정’(7.1%)육아가정’(3.2%)보다 약 2배 가까이 높았다.

 

한편 연령별로는 현실과 희망 수입의 괴리감이 20대는 가장 크게, 반면 50대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먼저 각 연령별 현재 가구수입은 ‘40 350만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20’ 339만원, △‘50’ 337만원, △‘30’ 334만원 순이었다.

 

반면 월 평균 희망수입은 ‘20 541만원으로 최고치를 나타내면서 현재 수입과 202만원의 가장 큰 격차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40’ 537만원, △‘30’ 511만원, △‘50’ 476만원 순이었으며, ‘50 139만원으로 차이가 가장 적었다.

이형남 기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가 인간 창작물보다 AI 콘텐츠 선호…알고리즘 편향 논란 확산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 기자 | 최근 발표된 한 국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시스템이 인간이 만든 콘텐츠보다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AI가 점차 자기 강화(self-reinforcement) 구조 속에서 운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창의성과 고용시장 전반에 심각한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연구팀은 다양한 언어 모델과 생성형 AI 시스템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인간이 작성한 글보다 AI가 만든 텍스트를 ‘더 정확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 판단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러한 경향이 데이터 학습 과정에서 AI 자체 산출물이 계속 축적되면서 편향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AI가 AI를 선호하는 구조가 고착화되면, 인간의 독창적인 사고와 창작물이 주변화될 수 있다”며 “이는 예술·저널리즘·교육 등 인간의 고유한 창의성이 핵심인 영역에서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기업이 AI에 의존해 콘텐츠를 대량 생산하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노동시장에도 불안 요소가 커지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