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7000만원 챙긴 사기범 일당 적발...온라인 결제시스템 악용


온라인 결제 취약점을 이용해 모바일 상품권 10만원어치로 결제와 취소를 반복하며 7000만 원을 챙긴 사기범이 경찰에 적발됐다.

경찰청 사이버범죄대응과는 온라인 결제의 허점을 찾아낸 뒤 이를 알려줘 범죄에 이용하게 한 혐의로 프로그래머 27살 김모씨를 불구속 입건했다고 6일 밝혔다.

프로그래머 김모씨(27)와 중국 국적 프로그래머 이씨는 온라인 결제에서 쇼핑몰 등 가맹점과 신용카드사 사이의 결제를 연결해주는 '결제대행사’에 마치 결제가 취소된 것처럼 속이는 방법을 사용했다.

온라인 공간에서는 결제 업무를 제삼자인 대행사가 하고, 결제와 관련된 내용도 숫자로 이뤄진 코드에 불과해 엉뚱한 가맹점에서 취소 신청을 해도 대행사나 가맹점은 즉각 알 수 없을 수 있다는 것이다.

김씨는 이런 정보를 이씨에게 전달했고, 이씨는 올해 1∼3월 모 게임 아이템 사이트에서 10만원짜리 온라인 문화상품권을 내고 사이버 머니를 충전했다가 현금화해 빼낸 후 모 어학원 사이트를 통해 결제를 취소하는 방법으로 빼돌렸다.

결제 대행사는 어학원 사이트에서 발생한 결제가 취소된 줄로만 알고 있었지만 어학원에서는 애초 결제가 이뤄진 적이 없었으니 결국 모든 손실은 대행사에 돌아갔다.

어학원 사이트를 통해 결제를 취소할 때마다 10만원짜리 상품권은 되살아났고, 이씨는 똑같은 방법으로 범행을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840차례 되풀이해 7천만원을 만든 셈이다.

경찰은 "해킹 없이 결제 허점만을 노린 범행은 이번이 처음있는 일"이라며 "현재 결제대행사의 보완 조치가 완료돼 앞으로 이 방법은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찰청 사이버범죄대응과는 김씨를 컴퓨터 등 사용 사기 혐의로 불구속 입건하고 현재 중국에 있는 30대 중반의 이씨의 소재를 쫓고 있다. 


남성현 기자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가 인간 창작물보다 AI 콘텐츠 선호…알고리즘 편향 논란 확산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 기자 | 최근 발표된 한 국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시스템이 인간이 만든 콘텐츠보다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AI가 점차 자기 강화(self-reinforcement) 구조 속에서 운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창의성과 고용시장 전반에 심각한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연구팀은 다양한 언어 모델과 생성형 AI 시스템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인간이 작성한 글보다 AI가 만든 텍스트를 ‘더 정확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 판단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러한 경향이 데이터 학습 과정에서 AI 자체 산출물이 계속 축적되면서 편향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AI가 AI를 선호하는 구조가 고착화되면, 인간의 독창적인 사고와 창작물이 주변화될 수 있다”며 “이는 예술·저널리즘·교육 등 인간의 고유한 창의성이 핵심인 영역에서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기업이 AI에 의존해 콘텐츠를 대량 생산하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노동시장에도 불안 요소가 커지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