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中, '외국인투자 제한 규정' 대폭 폐지한다

중국 정부가 외국인 투자를 금지·제한하고 있는 각종 경제 관련 규제를 대대적으로 폐지할 예정이다.


신화(新华)통신 등 중국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国家发改委, 이하 발개위)는 지난 4일 '외상주자산업지도목록(外商投资产业指导目录)' 수정판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의견청취에 들어갔다.


수정판에 따르면 향후 외국인투자 제한 분야는 현재의 79개에서 35개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다. 취소되는 산업분야에는 철강, 에틸렌, 정유, 제지, 석탄화학설비, 자동자용 전자제품, 리프팅기기, 전력수송전환 설비, 지하철, 바이주(白酒), 국제해상운송, 전자상거래, 회계, 보험중개, 프렌차이즈, 대규모 토지개발, 수출입상품검역 등이다.

현지 언론은 "지난 1995년 '외상투자지도목록'이 제정된 후 총 6차례 수정이 이뤄졌는데 투자제한 분야가 이처럼 많이 폐지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전했다.

합자, 합작 제한분야도 현재 43개에서 11개로 대폭 줄어들며 중국자본의 과반 참여를 규정한 분야도 44개에서 32개로 줄어든다. 
제지기업, 자동차 전자제품, 요트디자인과 제작 등에 대한 '중국자본의 참여' 요구 규정도 폐지된다.

발개위 측은 "이번 수정안의 목적은 경제 글로벌화의 새로운 추세에 맞춰가는데 있다"며 "투자제한 항목을 대폭 줄이고 외자투자 비중 제한을 완화해 제조업, 서비스업의 대외개방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발 정보&뉴스 온바오가 전했다.

 한태민 기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가 인간 창작물보다 AI 콘텐츠 선호…알고리즘 편향 논란 확산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 기자 | 최근 발표된 한 국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시스템이 인간이 만든 콘텐츠보다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AI가 점차 자기 강화(self-reinforcement) 구조 속에서 운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창의성과 고용시장 전반에 심각한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연구팀은 다양한 언어 모델과 생성형 AI 시스템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인간이 작성한 글보다 AI가 만든 텍스트를 ‘더 정확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 판단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러한 경향이 데이터 학습 과정에서 AI 자체 산출물이 계속 축적되면서 편향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AI가 AI를 선호하는 구조가 고착화되면, 인간의 독창적인 사고와 창작물이 주변화될 수 있다”며 “이는 예술·저널리즘·교육 등 인간의 고유한 창의성이 핵심인 영역에서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기업이 AI에 의존해 콘텐츠를 대량 생산하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노동시장에도 불안 요소가 커지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