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韓 최고 흥행영화 '명량', 11월 28일 中 개봉


올해 한국영화 사상 최고 흥행신기록을 세운 영화 '명량'(중국명 鸣梁海战)이 이달말 중국에서 개봉된다. 중국 언론은 '명량'이 자국에서 개봉된 한국영화 중 최단시간 안에 수입돼 방영되는 영화라며 관심을 보였다.

신징바오(新京报), 베이징청년보(北京青年报) 등 20여개 중국 언론은 "'명량'이 오는 11월 28일 중국에서 개봉된다"며 '명량'의 감독, 주연배우의 필모그래피를 비롯해 '명량'이 한국에서 세운 각종 기록을 상세히 소개했다.

신징바오는 "여름철 성수기에 상영된 '명량'은 한국 국민의 3분의 1이 본 작품으로 특정 영화를 본 자국 국민 비중이 가장 높아 기네스기록을 세웠으며 흥행수입, 관객 수 역시 종전의 '아바타'(중국명 阿凡达)가 가지고 있던 한국 기록을 경신했다"고 전했다.

이어 "200억원 가까이 투입된 제작비 역시 한국 최고기록이며 소품 제작, 컴퓨터그래픽 기술 역시 정교했던 것이 관객들을 끌어당긴 요인 중 하나"라며 "61분 분량의 해상전투신은 영화의 클라이맥스이며 최민식이 연기한 이순신이 12척의 배를 이끌고 일본 함선 330척과 대결하는 장면은 정말 화려하다"고 덧붙였다.

베이징청년보는 "근년 들어 한국영화가 급속히 발전하고 있지만 중국에서 방영되려면 최소 6개월에서 최대 1년 넘게 걸렸다"며 "지난 7월 30일 한국에서 상영된 명량이 11월 28일 개봉됨에 따라 중국에서 상영된 한국영화 중 수입에서 방영까지 4개월도 안 걸리는 느최단기간 기록을 세웠다"고 전했다.

'명량' 이전에 한국영화 중 최고 흥행기록을 보유한 '도둑들'(중국명 夺宝联盟)은 한국에서 2012년 7월 25일에 방영된 후, 중국에서 이듬해 1월 15일에 방영됐으며 '설국열차'(중국명 雪国列车)'는 지난해 8월 1일 개봉해 중국에서는 이듬해 3월 17일 방영됐다.

현지 언론은 "우위썬(吴宇森, 오우삼) 감독의 영화 '태평륜(太平轮)'이 다음달 2일 개봉한다"며 "두 편의 전쟁영화가 4일 간격을 두고 잇따라 개봉함에 따라 (관객들 사이에서) 분명 비교를 당할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보도에 따르면 '명량' 주연인 최민식과 류승룡은 이달말 중국을 방문해 영화 홍보에 나설 계획이다. 중국발 정보&뉴스 온바오닷컴이 전했다.

 강희주 기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가 인간 창작물보다 AI 콘텐츠 선호…알고리즘 편향 논란 확산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 기자 | 최근 발표된 한 국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시스템이 인간이 만든 콘텐츠보다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AI가 점차 자기 강화(self-reinforcement) 구조 속에서 운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창의성과 고용시장 전반에 심각한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연구팀은 다양한 언어 모델과 생성형 AI 시스템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인간이 작성한 글보다 AI가 만든 텍스트를 ‘더 정확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 판단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러한 경향이 데이터 학습 과정에서 AI 자체 산출물이 계속 축적되면서 편향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AI가 AI를 선호하는 구조가 고착화되면, 인간의 독창적인 사고와 창작물이 주변화될 수 있다”며 “이는 예술·저널리즘·교육 등 인간의 고유한 창의성이 핵심인 영역에서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기업이 AI에 의존해 콘텐츠를 대량 생산하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노동시장에도 불안 요소가 커지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