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북

조선 선비가 바라본 '고려 거란 전쟁'

"영토 개척의 표본, 영웅을 추숭하다"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한국국학진흥원은 '조선의 눈으로 고려를 보다'라는 주제로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3월호를 발행했다. KBS에서 방영 중인 드라마 <고려 거란 전쟁>은 기존 사극 시청층뿐 아니라 젊은 세대의 높은 호응과 지지를 얻으며 고려 시대에 대한 호기심과 판타지를 촉발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조선의 지식인들이 고려에 가졌던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동북 9성을 이룬 윤관을 기리다

 

<윤관의 9성에 대한 조선 시대 지식인의 인식>에서 이정신 교수(한남대학교)는 고려 숙종과 예종 대에 활약한 문신 윤관(尹瓘, 1040∼1111)에 관한 조선 시대 지식인들의 평가를 담았다.

 

고려는 현종(顯宗) 대에 거란의 침략을 받은 이후부터 서북방면 진출은 포기하고 동북쪽으로 영토를 넓히는 데 주력했다. 예종 2년에 윤관은 별무반을 편성하여 완안부 여진을 소탕하고, 9성을 설치하여 여진인을 내보내고 남도 주민을 이주시켜 완전히 고려의 영토로 만들었다. 이로써 고려는 국왕을 중심으로 하는 강력한 통치 질서의 수립뿐 아니라 영토 확장을 통한 농경지 획득이라는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왔으나 화평론을 내세운 고려 조정은 정벌 2년 만에 동북 9성을 반환한다. 하지만 고려가 9성에서 철수한 지 6년 만에 여진은 금나라를 세우고 고려에 군신 관계를 요구하자, 고려는 9성 반환이 실책이었음을 인식한다.

 

조선의 지식인들은 주요한 대외 정책과 북방 정책을 펼 때 윤관을 소환하며 그의 행적을 평가했다. 세종 대에 4군과 6진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윤관의 9성을 국경 획정(劃定)의 나침반으로 사용했다. 성종 대에 명이 여진의 건주위를 정벌하기 위해 고려에 원군을 요청하자 양성지는 금이 고려를 침입하지 않은 것은 윤관이 9성을 쌓은 선춘령이 경계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하며 출병을 반대하였으며, 조위 또한 9성을 반납한 것은 윤관 탓이 아니라 군수품이 부족하여 여진족을 이길 수 없었던 이유를 들어 조선이 명과 연합하여 여진족을 공격하는 것을 반대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9성 위치 비정에 대한 논의가 많았다. 백두산정계비를 세운 후부터 북방 영역에 대한 관심이 일어나 영토 의식의 확대를 가져왔다. 고구려·발해 이래 윤관의 9성 영역은 고려가 북방으로 진출한 가장 넓은 영역이었기에 윤관이 영토 개척의 화두로서 지속해서 거론되었다.

 

농경과 유목의 차이가 불러온 전쟁

<고려와 거란 전쟁-정주와 유목의 충돌>에서 허인욱 교수(한남대학교)는 고려와 거란, 두 나라가 전쟁한 이유를 문화사적으로 풀어낸다.

 

농사하며 정착 생활을 하는 고려와 달리, 거란은 계속 이동하며 가축을 키우는 유목 문화를 영위했다. 이러한 차이는 상대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이라는 간극을 초래했고 그 결과 전쟁이라는 무력 충돌이 나타났다.

유목민의 생존에 문제가 발생하는 때는 가축들에게 풀을 먹일 수 없는 겨울이었다. 그래서 유목민은 생존을 위해 초원 바깥의 사람들에게 도움을 받거나, 교환을 했으나 그것도 안 되면 약탈하는 수밖에 없었다. 전쟁과 관련한 『요사』의 기록에 거란은, 출병은 음력으로 9월을 넘기지 않고 군사를 돌이키는 것은 12월을 넘기지 않도록 했다고 한다. 이는 생활시스템 속에서 자연스레 이루어진 일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거란이 고려를 치기 위해서는 요동과 한반도를 잇는 의주를 통해야만 했는데, 땅이 얼어 단단해져야 압록강을 지날 수 있었던 것도 겨울을 선택한 이유의 하나였다.

 

또한 1019년 귀주대첩에서는 비바람을 이용한 고려군의 공격에 거란군이 달아나자 이를 쫓아가 공격을 했다는 『요사』의 기록으로 보면 고려 또한 기마병이 있어야만 가능한 일이었다. 이는 거란군을 막아내기 위해 고려가 거란의 장점인 기마술을 수용, 습득했음을 알려준다.

 

고려 시대 거란과 전투에 공을 세웠던 이들은 조선 시대에도 추숭되었다. 고려때부터 있었으나 여러 병란으로 사라진 평안도 선천군의 삼충사(三忠祠)를 인조 23년(1645)에 다시 세워 1011년 정월에 거란과의 전투에서 전사한 양규(楊規)와 김숙흥(金叔興), 유백부(庾伯符)를 모셨다. 강감찬 장군은 태조대부터 여러 서원에서 배향하고, 묘를 재정비하기도 하였다.

 

웹진 담談 2024년 3월호는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홈페이지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삼성노블카운티 너싱홈, ‘가온소리’ 퓨전국악 공연…“예술로 전하는 위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류승우 기자 | 퓨전국악 앙상블 ‘가온소리’가 7월 28일 삼성노블카운티 너싱홈에서 재능나눔 공연을 열었다. 전통 국악과 서양 악기가 어우러진 무대는 요양시설 어르신들에게 정서적 위로와 문화적 즐거움을 선사했다. 가야금부터 첼로까지…전통과 현대의 조화 퓨전국악 앙상블 ‘가온소리’는 음악감독이자 피아니스트인 한진영을 중심으로, 가야금(이승호), 해금(최정윤), 첼로(오지나) 등 국악기와 서양악기를 접목한 독창적인 편성으로 구성됐다. 이날 공연에서는 아리랑 환상곡, 베사메무쵸, 오 솔레미오, 아름다운 나라, 동요 메들리 등 친숙하면서도 다양한 레퍼토리가 어르신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재능기부 형식의 무대…문화 접근성 높이는 노력 이번 공연은 예술인의 자발적인 재능기부로 진행됐다. 삼성노블카운티 너싱홈은 의료·요양·문화가 결합된 복합 요양시설로, 정서적 안정을 돕기 위해 정기적으로 외부 문화공연을 유치하고 있다. 입주 어르신들은 “직접 공연장을 찾지 않아도 고품질 공연을 접할 수 있어 감사하다”고 전했다. 삼성노블카운티 관계자는 “이번 공연은 돌봄을 넘어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며 “앞으로도 문화·예술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