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전동칫솔, '품질ㆍ성능ㆍ유지비용' 꼼꼼히 따져봐야


▲ 한국소비자원이 전동칫솔의 칫솔모 품질, 배터리 품질, 소음 및 방수 성능 등을 시험했다. (자료=한국소비자원 제공)

전동칫솔은 전기적인 힘으로 칫솔을 수천에서 수만회 진동 또는 회전시켜 구강내 치아와 잇몸을 청결히 하는 제품으로,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동칫솔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전동칫솔에 대한 종합적인 상품정보는 미흡한 실정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제품선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전동칫솔을 대상으로 칫솔모 품질, 배터리 품질, 소음 및 방수 성능 등을 시험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시험은 전동칫솔을 사용 중인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제품 선호도가 높은 충전식 전동칫솔(5종)과 대형유통마트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건전지식 전동칫솔(5종) 등 8개 업체, 10종 제품을 선정해 진행됐다.

전동칫솔의 모 끝 다듬질 품질은 시험 대상제품 중 7개 제품이 '보통' 이상 수준이었으나, '소닉케어(헬시화이트 HX6731)' 와 '파나소닉(EW-DL82)' 제품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음 시험에서는 회전왕복식인 '암앤해머 스핀브러쉬(프로화이트닝 EX Soft)'와 '오랄비(크로스액션파워 항균칫솔)' 제품이 각각 61, 59 dB로 소음이 다른 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컸다.

또 진동수 표시방법을 확인한 결과 진동수를 왕복횟수로 표시하는 업체가 있는 반면, 편도의 움직임으로 표시하는 업체도 있었다. 제품의 진동수를 3만1000회로 표시한 제품을 왕복기준으로 측정해본 결과 진동수가 약 1만6000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전동칫솔의 칫솔모 교체비용의 분포는 연간 4회 교체 시 8200원(테스코 : 프로테크 전동칫솔)∼3만3070원(소닉케어 : 헬시화이트 HX6731)으로 나타나 제품 간 최대 4배 차이가 났고, 일부 충전식 제품은 충전지를 교환하려면 본체 전체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서비스(A/S) 비용이 높았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칫솔모를 오랜 기간 동안 교체하지 않으면, 위생에 좋지 않고 칫솔모가 파손될 수도 있으며 양치 효과도 떨어질 수 있으므로 약 3개월 단위로 주기적으로 교체할 것을 권한다"며 "감전사고 등의 상해를 막기 위해 어린이 등 보호가 필요할 경우 보호자의 감독 하에 사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전동칫솔에 관한 품질비교정보는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및 정부 3.0 달성 차원에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스마트컨슈머(www.smartconsumer.go.kr)내 비교공감란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김봉수 기자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개발 가속화 위한 윤리적 문제 해결책 모색 중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급속한 AI 기술 발전과 함께, AI 개발의 윤리적 문제 해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AI 시스템의 편향성, 프라이버시 침해, 일자리 감소 등의 우려가 제기되면서, 기술 발전과 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AI 알고리즘의 투명성 확보와 편향성 제거를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많은 AI 시스템은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는데, 이 데이터 자체에 편향성이 존재할 경우 AI는 차별적인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및 처리 과정에서 편향성을 최소화하고, 알고리즘의 의사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AI 기술의 오용 방지를 위한 규제 마련 또한 시급한 과제이다. AI를 악용하여 개인 정보를 침해하거나,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는 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AI 기술의 윤리적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이를 준수하지 않는 행위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