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국내 기업 보유 단기금융자산 '260조원' 육박


▲ 기업들이 보유한 단기금융자산이 26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들이 시중은행 등 금융회사에 맡겨둔 단기금융자산이 26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 기업들의 단기금융자산은 지난 2013년 말 현재 257조8000억원으로 2011년에 비해 15.9%(35조4000억원) 증가했다.

금융자산에서 단기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67.5%에서 69.7%로 2.2%포인트 늘어났다.

단기금융자산은 만기 1년 미만의 예금이나 적금 등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뜻한다. 수시입출금식 예금 등 회계상 현금으로 분류되는 자산이 모두 포함된다. 기업들이 만기 3년이상의 국공채를 보유하더라도 이를 만기 때까지 보유하기보다는 필요할 경우 즉시 매각하기 때문에 사실상 단기 금융자산은 이보다 훨씬 더 많다고 봐야 한다.

단기금융자산은 특히 잉여자금이 풍부한 영업이익 상위 30대 기업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증가했다. 30대 기업의 경우 전체 금융자산에서 단기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같은 기간 73.9%에서 80.3%로 증가했다.

이는 조사대상 기업 평균치에 비해 10%포인트 이상 높은 수치다.

단기금융자산이 2년 사이에 이처럼 늘어난 것은 기업들이 유보금이 늘어나도 설비투자 등으로 활용할 곳을 찾지 못하고 있기 대문이다.

지난 2013년 기업들의 설비투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 2012년에 비해 대기업 설비투자는 3.9%, 중소기업 설비투자는 14.1% 감소했다. 기업들의 설비투자는 올들어서도 여전히 부진한 상황이다. 설비투자는 지난 1분기 1.9% 감소한 후 2분기에는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3분기에는 다시 마이너스로 전환됐다.

한은 관계자는 "단기 금융자산이 증가한 것은 (투자감소 등으로) 현금성 자산이 늘어난 결과"라며 "단기수신 비중이 높아지는 상황이 지속될 경우 만기불일치 위험 등으로 은행 자금운용에도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대기업 3206개, 중소기업 1만2708개를 비롯한 비금융법인 1만5914개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경호 기자

[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장금용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 빅트리·맘스프리존 현장 긴급 점검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창원특례시는 21일 장금용 시장 권한대행이 주요 간부들과 함께 최근 논란이 제기된 빅트리 복합개발사업과 맘스프리존 복합문화공간 현장을 방문해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개선방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빅트리 사업은 창원시를 대표하는 새로운 랜드마크 조성을 목표로 추진됐으나, 실제 외관이 당초 조감도와 달라 시민 불만이 제기되고 있으며, 설계 변경 과정에서 의견수렴이 부족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맘스프리존 역시 총 250억 원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임에도 외관만 완공된 상태로 내부 시설 구축과 운영방향, 콘텐츠 마련이 더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전용 주차장과 대중교통 접근성 등 이용 편의성 측면에서도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장금용 창원특례시장 권한대행은 “빅트리와 맘스프리존은 시민들의 기대가 높은 만큼, 현재 제기된 문제들을 정확히 파악하고 실질적인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며 “사업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간으로 완성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앞으로 추진 과정 전반에서 시민 의견을 적극 반영하고, 공공성이라는 원칙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