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소방청, 텐트 내 난방기기 사용, 과연 안전할까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기자 | 추운 겨울철에도 포기할 수 없는 캠핑!

추워서 들여놓은 난방기기 텐트 내에서 사용해도 안전할까요?

 

안전한 캠핑을 위해 난방기기 재료에 따른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발생 정도와 효과적인 일산화탄소 경보기 설치위치를 검토하는 실험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 캠핑족 증가와 함께 늘어난 일산화탄소 중독사고

 

- 최근 4년간(’19년~’22년) 텐트 내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119에 신고한 건수 114건

겨울철 안전한 캠핑을 위해 돔 텐트(4인용)·거실형 텐트(4인용) 안에서 난방기기 재료*에 따른 일산화탄소·이산화탄소 발생 정도와 효과적인 일산화탄소 경보기 설치 위치를 검토하는 실험이 진행되었습니다.

*장작, 조개탄, 가스, 등유

 

■ 45초만에 텐트에 가득 찬 일산화탄소

 

실험 결과 장작과 조개탄을 피운 화로를 텐트 안에 집어넣었을 때 텐트 내 모든 위치에서 일산화탄소 최대 측정농도인 500ppm 이 측정되었으며 돔 텐트 내에서는 불과 45초 만에 500ppm에 도달, 거실형 텐트*는 전실에 화로를 뒀음에도 이너텐트까지 일산화탄소가 측정됨을 알 수 있었습니다.

 

* 거실형텐트 일산화탄소 최대농도 도달 속도

- 장작 : 전실 90초, 이너텐트 510초

- 조개탄 : 전실 70초, 이너텐트 180초

 

■ 가스와 등유 난방기기는?

 

- 이산화탄소의 위협

가스, 등유를 사용하는 난방기기는 일산화탄소 농도가 크게 높아지지 않으나 이산화탄소가 급증하여 공기 중 4.5% *까지 도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1시간 실험 기준 45,000ppm까지 이산화탄소 농도 급증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3% 심박수 및 혈압 증가, 5% - 어지러움, 두통, 호흡곤란, 8% - 의식불명, 사망 가능성 높음

 

이 실험을 통해 일산화탄소가 많이 발생하는 목재·석탄류는 텐트 내부 사용을 절대 삼가고 가스, 등유 난방기기 또한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위험에 이를 수 있으므로 텐트 내 사용에 주의하며, 주기적인 환기가 필수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 안전한 캠핑을 위해 이렇게 설치하세요!

 

- 일산화탄소 경보기

일산화탄소는 단위부피 당 질량이 산소보다 작고 부력에 의해 상승하므로 일산화탄소 경보기 또한 텐트 상부에 설치해야 상대적으로 위험을 빠르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암살자 일산화탄소”

안전한 난방기기 사용과 올바른 경보기 설치로 행복한 겨울 캠핑 즐기시길 바랍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화, 한국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도전과 기회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2025년 하반기, 전 세계 경제는 팬데믹 이후 더욱 심화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주요국들의 자국 우선주의 확산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 놓여 있다. 특히, 첨단 기술의 핵심이자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반도체는 이러한 지정학적 긴장의 최전선에 서 있으며, 각국의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되면서 공급망 안정화와 내재화는 국가 안보의 문제로까지 부상하고 있다. 한국 경제의 핵심 동력인 반도체 산업은 이 복잡한 환경 속에서 생존과 성장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절실히 요구받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주요 동력은 미중 기술 경쟁의 심화, 과거 팬데믹으로 인한 생산 차질 경험, 그리고 각국 정부의 대규모 보조금 지급을 통한 자국 내 생산 유치 노력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미국은 '칩스법'을 통해 반도체 생산시설 투자를 장려하고 있으며, 유럽연합 또한 '유럽 칩스법'을 통해 역내 반도체 생산 능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이러한 움직임은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 집중되었던 생산 거점을 다변화하고, 전략적으로 중요한 품목에 대한 안정적인 수급 체계를 구축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