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문화체육관광부, ‘2024 코리아그랜드세일’ 주요 혜택 총정리!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기자 | 방한 관광 비수기인 1~2월에 외국인 관광객 유치와 관광 소비 촉진을 위해 열리는 쇼핑문화관광축제 ‘코리아그랜드세일(Korea Grand Sale)’. 올해는 역대 최다인 1,650여 개 기업이 참여해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한국에서만 만날 수 있는 케이(K)-콘텐츠 체험까지 더해 더욱 풍성해진 ‘2024 코리아그랜드세일’에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려요!

 

2024 코리아그랜드세일 더 풍성하게 돌아왔습니다!

 

· 항공권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제주항공 등 국내 9개 항공사

Ⅴ 해외발 한국행 145개 노선 대상 최대 91% 할인

 

· 숙박

롯데호텔앤리조트·신라스테이·아고다 등

Ⅴ 최대 80% 객실 할인

Ⅴ 코리아그랜드세일 전용 숙박 패키지 혜택 (교통, 체험, 쇼핑 등)

 

· 오프라인 쇼핑

면세점(롯데 ·신라·신라아이I파크·신세계· 현대), 백화점(갤러리아·롯데 신세계), 대형마트(롯데마트·이마트), 아웃렛(두타몰, 현대시티아울렛 동대문점)

Ⅴ 전국 주요 지점 최대 60% 할인

Ⅴ 최대 70만 원 상당의 상품권, 쇼핑지원금 제공

Ⅴ 멤버십 업그레이드 기념품 증정 등

 

· 카드

유니온페이 카드 이용 외국인 관광객 대상

Ⅴ 20% 할인권 *행사시간 내 QR코드 회원 정보 등록 필수

Ⅴ 전국 300여 개 식음업장 즉시 할인 혜택

Ⅴ 주요 매장 구매 혜택 제공(올리브영, 정관장, 에이블씨엔씨 등)

 

· 쿠폰북

Ⅴ #명동 #홍대 #성수 등 주요 외국인 방문지 내 ‘코리아그랜드세일 웰컴센터’ 설치

Ⅴ 쿠폰북 제공 및 구매 인증 경품행사 진행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대상

 

강원도 쇼핑관광 혜택

Ⅴ 도내 스키 상품 및 숙박 할인

Ⅴ 식음 매장 및 지에스(GS25) 편의점 할인 행사

 

전국 코리아그랜드세일 할인혜택

 

Ⅴ 대구 ‘대구트립’ 관광상품 최대 17% 할인

Ⅴ 인천 웰니스 관광지 최대 25% 할인

Ⅴ 울산 시티투어버스 50% 할인

Ⅴ 김제 주요 8개 관광지 무료입장 등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이 쇼핑과 함께 매력적인 케이(K)-컬처를 통해 특별한 추억을 만들 수 있도록!

2024 코리아그랜드세일에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속화, 한국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도전과 기회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2025년 하반기, 전 세계 경제는 팬데믹 이후 더욱 심화된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주요국들의 자국 우선주의 확산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 놓여 있다. 특히, 첨단 기술의 핵심이자 산업의 쌀이라 불리는 반도체는 이러한 지정학적 긴장의 최전선에 서 있으며, 각국의 기술 패권 경쟁이 격화되면서 공급망 안정화와 내재화는 국가 안보의 문제로까지 부상하고 있다. 한국 경제의 핵심 동력인 반도체 산업은 이 복잡한 환경 속에서 생존과 성장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절실히 요구받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주요 동력은 미중 기술 경쟁의 심화, 과거 팬데믹으로 인한 생산 차질 경험, 그리고 각국 정부의 대규모 보조금 지급을 통한 자국 내 생산 유치 노력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미국은 '칩스법'을 통해 반도체 생산시설 투자를 장려하고 있으며, 유럽연합 또한 '유럽 칩스법'을 통해 역내 반도체 생산 능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이러한 움직임은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 집중되었던 생산 거점을 다변화하고, 전략적으로 중요한 품목에 대한 안정적인 수급 체계를 구축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n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