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6.23 (월)

  • 흐림동두천 23.5℃
  • 흐림강릉 30.0℃
  • 서울 24.7℃
  • 인천 22.4℃
  • 수원 24.4℃
  • 청주 24.5℃
  • 대전 24.5℃
  • 대구 28.9℃
  • 전주 25.7℃
  • 흐림울산 27.3℃
  • 광주 26.0℃
  • 부산 23.5℃
  • 안개여수 23.0℃
  • 흐림제주 29.7℃
  • 흐림천안 24.4℃
  • 흐림경주시 28.5℃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아델레 진윤희 참여 베세토오페라단 오페라 페스티벌 플레더마우스 박쥐


 

베세토오페라단은 제11회 오페라 페스티벌을 통해 오는 8월 21일-23일까지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에서 개최된다.

제11회 오페라 페스티벌에서 열리는의 권용진 총감독에게 올해는 더더욱 특별하다. 권용진 총감독은 “이례가 없던, 코로나 19로 인해 공연계가 위축된 상황에서 수많은 성악가, 연출가 등이 총출동하여 무대에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뜻깊은 공연이라 생각한다.”고 전했다.

 

그는 우리나라 최초 여성 오페라 연출가인 강화자 단장과 함께 작업하게 되어 무척 설렌다고 하였다. 그가 소개하는 강화자 단장은 오페라 성악가들에게 취약할 수 있는 연기 부분을 최대한 뽑아내는 탁월함을 가지고 있으며 성악가들의 깊이 있는 연기력을 선보일 수 있는 연출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무대와 객석을 과감히 뒤집고 무대와 객석의 벽을 허무는 열린 연출법이 뛰어나다.

 

이번 공연을 진두지휘하면서 눈여겨본 오페라 성악가들 중에 아델레역의 진윤희, 알프레도역의 김성진 그리고 오를로프스키역의 김수정을 꼽았는데, 아델레역의 진윤희는 서울대 음악대학원을 졸업해 미국 유학을 갔다 온 후, 다수의 독창회와 음악회 출연하였다. 현재는 선화예중, 예고 출강 및 러시아 글린카국립음악원, 하노이 국제예술대학교 초빙교수를 역임 중이라고 소개하였다. 덧붙여 풍부한 감성, 따뜻하면서도 우아한 음색이 특징이다.

 

알프레도역의 김성진은 경희대 음악대학을 졸업해 독일로 유학을 갔으며 그 곳에서 독일 아헨시립오페라극장의 전속 주역 솔리스트를 역임할 만큼 탁월한 실력을 가지고 있다. 귀국 후, 다수의 협연 및 연주 뿐만 아니라 경희대, 상명대, 서울예고 외래교수로 역임 중이다. 테너의 교과서라고 불릴 만큼 단단한 음색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이번 공연에서 지휘를 하는 우나이 우레초 주비야가(UnaiUrrechoZubillaga)는 20년 넘는 세월 동안 오케스트라에서 꾸준히 연주 활동을 해온 훌륭한 연주가로 지휘학을 공부한 이후에는 매년 다양한 단체와 음악을 지휘한다고 하였다. 그에 대한 설명 후, 권용진 음악총감독은 “그의 인자한 웃음과 부드러운 성품 뒤에 숨어있는 카리스마를 관객에게도 전달되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조용익 부천시장, 도시 성장·균형발전 로드맵 '3.4.5 프로젝트' 발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조용익 부천시장이 23일 부천시청 브리핑룸에서 민선 8기 3주년 기자회견을 열고 ‘부천 3.4.5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는 3·4·5중 역세권인 소사역·대장역·부천종합운동장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도시공간 혁신과 원미·소사·오정 지역의 균형발전을 이루고, 경제활력을 끌어올리는 중장기 사업 계획이다. 조 시장은 프로젝트 소개에 앞서 “부천 과학고 유치를 확정해 첨단과학 교육도시로의 확실한 발판을 마련했고, 대한항공·DN솔루션즈 등 경제도약을 이끌 우수기업도 유치했다”며 지난 3년간 시민의 마음을 정책에 담아 함께 만들어온 성과를 간략히 이야기했다. 이어 “이재명 정부 출범과 동시에 민생경제 현안 등 국정 전 분야가 빠르게 정상궤도를 찾아가고 있다”며 “부천시도 이 흐름에 발맞춰 경제도약과 도시공간 재구성, 균형발전 문제를 속도감 있게 풀어가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했다. 이를 위해 부천의 가치와 경쟁력을 크게 높일 ‘부천 3.4.5 프로젝트’를 청사진으로 제시했다. ◇ 3중 역세권 소사역 KTX 시대, 경인선 지하화 추진…거주환경·삶의 질 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