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봉화군 봉화군청 유기그릇 전통의맥을 잇고있는 봉화유기 웰빙과학 접목으로 대중화 나선다.

봉화유기 한때전국 수요70%차지 할만큼 유명했다.


(데일리연합 장우혁기자 경북소식)봉화 유기. 한 때 전국 수요 70% 차지 외고집 한길. 유기의 웰빙과학 접목으로 대중화 나서유기그릇에는 가족의 건강과 정성이 가득 담겨 있다.
우리의 어머니들은 갖가지 모양의 황금빛 유기그릇에 맛깔나는 음식을 담아 가족의 안녕을 기원했고, 가볍고 편리한 생활식기에 비해 무겁고 관리가 힘들지만 어려운 가정 형편에도 유기그릇 한 벌 만큼은 장만했으면 하는 바램과 아낌없는 욕심을 부려왔다. 요즘도 가끔식 황금빛 유기를 사용하는 식당을 갈 때면 왠지 맛도 더 특별하고 반가움도 배가 되는 듯 하다.
예로부터 놋그릇을 만드는 사람을 ‘유기장’이라 한다. 구리에 아연을 넣은 주동(鑄銅)으로 만드는 유기를 ‘주물유기’라 하고, 아연대신 주석을 넣은 향동(響銅)으로 만드는 유기를 ‘방짜유기’라 한다. 방짜(方子)유기는 질이 좋고 독성이 없어 식기, 수저, 양푼, 대야, 징, 꽹과리 등을 만드는데 쓰이며, 주물유기는 방짜보다 가격이 싸고 독성이 있어 촛대, 향로, 화로와 같은 일반기물을 만드는데 사용된다.

방짜유기는 섭씨 1600도의 용광로에 구리 78 : 주석 22로 합금해 두들기고 찬물에 담금질을 반복해 만든 것으로 휘어지거나 깨지지 않고, 다른 유기에 비해 광택이 뛰어나 인기가 높았다. 우리나라에서 방짜유기가 사용된 것은 확실하지 않지만 조선시대에 들어 와서 주석의 비율이 규격화되어 좋은 품질의 방짜 그릇이 생산되었고 상류층에서 쓰던 유기가 일반인에게도 널리 보급되었다. 봉화 신흥리에서 처음 유기가 제작된 것은 18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곽씨와 맹씨 성을 가진 사람이 이 마을에 들어와 유기를 제작하면서 마을이 크게 번성해 새로 흥한 마을이라는 뜻의 ‘신흥리’로 불렸다고 한다. 1920년 전후에는 봉화유기마을에서 생산된 유기가 전국 유기 수요의 70%를 차지할 만큼 번성했다고 한다. 봉화유기가 명성을 얻게 된 것은 첫째, 백두대간의 양백지간에 위치해 춘양목이 생산되는 고장으로 쇠를 녹이는데 필요한 숯 생산이 용이했고, 둘째, 신흥리 마을앞에는 낙동강 700리의 발원지인 내성천이 사시사철 흐르고 1급수의 맑고 깨끗한 물은 제련시 우수한 유기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셋째, 봉화는 지리적으로 경북 북부에서 강원도와 동해안으로 가는 교통의 요지로서 보부상 활동이 왕성해 생산과 유통이 활발했다. 마지막은 무엇보다 봉화의 장인들은 백두대간의 기상과 정기를 이어받아 성실하고 집념이 강해 장인으로서의 직업정신이 투철한데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번성했던 봉화유기도 일제가 일으킨 태평양 전쟁때 유기그릇까지 군수품으로 약탈되면서 생산기반이 약해졌고, 60년대 들어서는 연탄을 사용하는 가구가 늘면서 유기그릇 표면이 아황산가스로 의해 까맣게 변색되는데다 때마침 스텐인레스 그릇, 양은 그릇, 플라스틱 그릇이 등장하자 봉화의 유기공방들도 대부분 사라지게 되었다. 쇠퇴의 기로에서 봉화의 유기가 다시 맥을 잇게 된 것은 1970년대 중반 봉화유기의 3대 고(故) 고해룡 유기장과 좀 더 늦게 시작한 내성유기의 김선익 유기장 덕분이다.
현재 봉화유기는 벌써 1대 창업주 고창업, 2대 고해룡, 3대 고태주까지, 내성유기는 1대 김용범, 2대 김대경, 3대 김선익, 4대 김형순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최근 유기가 유기의 보온·보냉 효과와 살균력 웰빙식기로 다시금 주목을 받고 있다. 허준의 『동의보감』에 주석은 자체가 상당한 살균 효과가 있다고 했고, 방짜 그릇에 물과 함께 미나리를 담가 놓으면 거머리를 잡아 냈으며, 왕의 수라상에 놋수저로 독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데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농약검출이나 ‘O157’균을 박멸하는 능력도 있다고 보고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행정기관에서는 봉화유기의 보급을 위해 이들 두 장인들을 1994년 경북도 무형문화재 제22호로 함께 지정했으며, 2015년에는 봉화유기와 내성유기를 경상북도 향토뿌리기업으로 지정하고 맞춤형 경영컨설팅과 제품 및 포장디자인 개발 등을 지원해 명품 장수기업으로 육성에 나서고 있다. 또한, 지난해에는 경상북도의 지원을 받은 경일대의 경북노포(老鋪)기업지원단은 봉화의 유기의 특성을 살려 얼음과 살균이 동시에 가능한 유기아이스 제품을 개발했으며 한국기초조형학회 국제전시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아 유기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유기그릇은 따뜻한 음식은 오랫동안 따뜻하게, 차가운 음식은 오랫동안 차갑게 유지하고, 더욱 정성스럽고 가치있게 한다.
엄태항 봉화군수는 조상들의 슬기로운 지혜로 찾아낸 방짜유기의 신비한 효능을 현대의 웰빙과학에 접목해 모처럼만에 마련된 봉화 유기 부흥의 기회로 만들어 건강도 지키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보탬이 되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성동구-성동50플러스센터, "커뮤니티와 함께 피어나는 노후준비 축제" 개최

데일리연합 (SNSJTV) 박해리 기자 | 서울 성동구 성동50플러스센터는 지난 9월 2일 ’커뮤니티와 함께 피어나는 노후준비 축제 – 커!피!축제‘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성동50플러스센터는 2024년 9월 서울시 최초로 지역노후준비지원센터로 지정된 이후,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노후진단, 상담,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주민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성과를 기념하기 위해 이번 행사를 추진했으며 노후 준비에 대한 인식 제고와 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목표로 주민들이 다양한 중장년 지원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각자의 상황에 맞는 전문 서비스를 접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했다. 행사에는 커뮤니티와 연계된 다양한 부스, 축하공연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진행돼 참여자들에게 건강한 노후준비와 세대 간 활기찬 소통의 공간을 제공했다. 특히 광복 80주년을 맞이 무궁화 1,000주 나눔 행사는 참가자들에게 역사적 의미와 나라사랑 정신을 되새기는 소중한 시간을 선사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한편 성동구는 중장년 세대의 체계적인 노후준비 지원을 위해 ‘성동지역노후준비협의체'를 새롭게 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