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9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영주시청 영주시 예술인의 큰잔치시민과 소통하는 소백예술제 개막....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이혜란 영주시지회장 소백예술제는 영주지역대표 예술제이며 시민과 화합하는 축제라....


(데일리연합 장우혁기자 경북소식)  예술인과 시민이 함께 소통하고 교류하는 예술인의 큰 잔치인 『제26회 소백예술제』 가 오는 20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29일까지 10일간 영주시민회관 공연장 및 전시실에서 펼쳐진다.
사단법인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영주지회(회장 이혜란/이하 영주예총)에서 주관하는 소백예술제는 우리지역 대표 예술제로서 올해로 스물여섯 해를 맞고 있으며 「향기로운 삶, 아름다운 세상! 예술로 공감하기」 라는 슬로건으로 4년째 개최되고 있다. 영주예총의 음악, 무용, 연극, 연예예술, 국악, 문인, 미술, 사진작가 8개 협회에서 참가하는 소백예술제는 지역의 예술인들이 공연과 전시를 통해 창의적 능력을 발휘하고 다양한 창작물을 보여주면서 관객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관객과 함께 호흡하는 화합의 축제이다.
올해는 20일 저녁 7시 시민회관 공연장에서 개막식을 시작으로 이어서 제25회 애창곡의 밤(영주음악협회), 2019 영주무용페스티벌(영주무용협회)이 개최되고 공연일정으로는 입체낭독극-스트립티즈(영주연극협회/22일 저녁 5시), 2019 행복콘서트(영주연예예술인협회/28일 저녁 7시), 2019 풍류 ‘울림’(영주국악협회/29일 저녁 7시 30분), 전시 일정으로는 2019 시민과 함께하는 거리 시화전(영주문인협회/20일~29일/서천둔치), 제61회 한국미술협회영주지부 회원전(20일~24일), 제21회 한국사진작가협회영주지부 회원전(26일~29일)이 시민회관 전시실에서 펼쳐진다.
이혜란 영주예총 지회장은 “이번 소백예술제 개최를 통해 시민들이 일상에서 잠시 벗어나 예술로 기쁨을 나누고 함께 호흡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문화예술분야 뿐 아니라 대중의 관심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다양한 작품으로 많은 시민들이 공감하고 참여하는 축제가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장욱현 영주시장은 “스물여섯 해 동안 우수한 예술인들이 우수한 작품으로 소백예술제를 지역의 대표예술제로 만들어 오신 것에 감사드린다”고 밝히며 “올해도 역시 예술인들이 창작의지를 불태워 시민들에게 정서적 풍요로움과 삶의 활력소를 심어 줄 수준 높은 공연과 전시를 준비했으니 많은 시민분들이 함께 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기업의 탄소중립 노력 가속화: 녹색금융 확대와 정부 정책의 영향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최근 기업들의 탄소중립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는 글로벌 탄소 감축 목표와 더불어 녹색금융의 확대, 그리고 정부의 강력한 정책적 지원이 맞물린 결과이다. 세계 각국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50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탄소 배출 감축에 대한 압력이 커짐에 따라 기업들은 재생에너지 투자, 친환경 기술 도입,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위한 프로세스 개선 등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특히 녹색금융의 확대는 기업들의 탄소중립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녹색채권, 지속가능연계대출(SLL) 등 녹색금융 상품을 통해 기업들은 저렴한 자금을 조달하여 친환경 사업에 투자할 수 있다. 이러한 금융 지원은 기업의 탄소중립 이행 속도를 높이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 또한 기업들의 탄소중립 노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탄소세 도입, 탄소배출권 거래제 강화, 친환경 기술 개발 지원 등 다양한 정책들이 기업들의 탄소 감축을 유도한다.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는 기업들의 탄소중립 전략 수립과 이행을 가속화하는 중요한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