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사회포커스]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데일리연합 이권희기자의 사회포커스]         통계청은 2019년 세계 인구는 77억 1천만 명으로, 2000년에 비해 1.3배 증가하였고, 향후 2067년에는 103억 8천만 명에 이를 전망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 인구는 2019년 5천 2백만 명에서 2028년까지 소폭 증가한 후 감소하여 2067년에는 3천 9백만 명에 이를 전망이라고 밝혔다. 

 2019년 대비 2067년 대륙별 인구는 아프리카(2.4배), 라틴아메리카(1.2배), 북아메리카(1.2배), 아시아(1.1배)는 증가하는 반면, 유럽(0.9배)은 감소할 전망이다.

  한편, 2015~2020년 세계와 한국의 인구성장률은 각각 1.1%, 0.3%로 한국이 세계의 4분의 1 수준이며, 2030~2035년에는 세계0.8%,한국 -0.1%, 2060~2065년에는 세계 0.3%, 한국 -1.2%수준이 될 전망이다.

 2019~2067년 기간 중 세계와 한국의 유소년인구1) 구성비는 각각 6.0%p, 4.3%p 감소하고, 생산연령인구2)도 각각 3.5%p, 27.3%p 감소할 전망이다.   반면, 고령인구3) 구성비는 각각 9.5%p, 31.6%p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의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1966년 53.0% 이후 계속 증가하다가 2012년 73.4%로 정점에 이른 후 감소하여 2019년 72.7%, 2040년에 56.3%, 2067년에는 45.4% 수준까지 낮아질 전망이다. 

 한국의 고령인구 구성비는 2019년 14.9%로 1970년(3.1%)에 비해 5배로 증가한 수준이며, 이후 계속 증가하여 2067년에는 46.5%로 높아질 전망이다.

(합계출산율) 세계의 합계출산율은 2015~2020년 2.47명으로 1970~1975년 4.47명에 비해 2.0명 감소한 수준이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15~2020년 1.11명으로 1970~1975년 4.21명에 비해 3.1명 감소한 수준이다.

 (기대수명) 세계의 기대수명은 2015~2020년 72.3세로 1970~1975년 58.1세에 비해 14.2세 증가한다.
   한국의 기대수명은 2015~2020년 82.5세로 1970~1975년 63.1세에 비해  19.4세 증가한다.

 (국제인구이동) 2015~2020년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에서는 인구가 순유출되고,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서는 순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은 2005~2010년 연평균 5만 2천 명씩 순유입이며, 점차로 증가하여 2015~2020년에는 연평균 9만7천 명씩 순유입.

 (남북한 인구규모) 남북한을 통합할 경우, 총인구는 2019년 7천 7백만 명에서 2067년에는 6천 5백만 명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한국 인구는 2019년 5천 2백만 명, 2067년 3천 9백만 명이다.

 (남북한 인구구조) 남북한을 통합할 경우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2019년에는 72.0%, 2067년에는 51.4%로, 한국 단독에 비해 2019년에는 0.6%p 낮아지나, 2067년에는 6.0%p 높아질 전망이다.

   남북한을 통합할 경우 고령인구 구성비는 2019년에는 13.0%, 2067년에는 37.5%로, 한국에 비해 2019년에는 1.9%p, 2067년에는 9.0%p 낮아질 전망이다.

 (합계출산율) 북한 합계출산율은 2015~2020년 1.91명으로 한국의 합계출산율 1.11명에 비해 0.8명 높음.

 (기대수명) 북한의 기대수명은 2015~2020년 72.0세로 한국의 기대수명 82.5세에 비해 10.5세 낮음.


[무단전재및 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생활 속 작은 징후 포착한 서대문구 주민들 인적안전망 역할 빛났다

데일리연합 (SNSJTV) 송은하 기자 | 서대문구 남가좌1동의 김재순 반장은 동네 순찰 중 문 앞에 연체고지서가 쌓여 있는 가구를 발견해 동주민센터에 신고했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각종 공과금을 체납하던 이 가구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선정되고 긴급복지 생계비를 지원받아 일상을 회복할 수 있었다. 북아현동의 황현옥 반장도 홀로 사는 노인과 평소 나눈 대화 속에서 생활고를 파악해 동주민센터에 알렸다. 이 노인은 선풍기 등의 생활용품을 지원받고 기초생활수급 신청 상담도 했으며 공적 급여 연계까지 진행돼 돌봄 사각지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서대문구는 이처럼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지역의 인적 안전망을 통해 복지 위기가구 602곳을 찾아내고 3,912건의 지원을 연계했다고 22일 밝혔다. 서대문구 이웃돌봄반, 자율방재단, 우리동네돌봄단 등이 지역 곳곳에서 활동하며 위기 징후를 찾아내 동주민센터에 알렸다. 발굴된 가구들은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등으로 선정되며 생계비, 의료·주거 지원 등 다양한 공적 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이성헌 구청장은 위기가구 발굴에 앞장선 주민 10명을 19일 구청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