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문화/예술

「극단 풍산」 연극 <메시아의 탄생_지옥의 문이 열리다>

6월 30일까지 대학로 스튜디오76


맹신(盲信)으로 인해 상식의 잣대가 고장 난 사이비 신앙 공동체 안에서 벌어지는 우스꽝스러운 촌극과 사건들을 은유로 오늘의 부조리한 현실 세계를 통렬히 파헤친 극단 풍산의 창작 초연 ‘메시아의 탄생_지옥의 문이 열리다’가 6월 무대에 오르게 된다.

작품의 이야기 전개과정은 어떠한 시대와 상황에서도 항상 적용되는 불변의 진리는 없으며, 박제화 된 진리를 믿는 그 순간 개별의 주체성은 사라지고 누군가의 노예가 될 뿐임을 흔들림 없이 주장하며 ‘메시아의 탄생’이 지향하고 목표하는 바를 선명히 드러내고 있다.

맹신(盲信)은 맹종(盲從)을 낳고, 광신(狂信)으로 진화하여 결국은 광기(狂氣)와 광분(狂奔)으로 치닫기 마련이다. 종교 영역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에 만연한 그릇된 교조(敎條)에 빠져 맹신의 그늘에서 자라나 광신의 덫에 걸린 우매한 대중을 이용하여 거짓과 조작으로 사익을 추구하는 세력에 대한 응징과 청산에 관한 사회적 공감대가 이번 공연을 통해 조성되길 기대한다.

반목과 대립을 거듭하고 있는 오늘의 한국 사회와 구성원들이 모두 기다려온 그분은 과연 누구일까? 격렬한 논쟁과 이견으로 연습 내내 소란스럽고 분주한 공연 구성원이 세상에 선보이는 격한 이야기의 회오리 속으로 함께 빠져들기를 희망해 본다.

전작 <고린내>, <엄니인력 사람들>, <하느님의 나라> 등을 통해 동시대 인간군상들의 조금은 특별한 삶에 관한 깊은 천착으로 관객들에게 색다른 몰입감과 담담한 위로를 전해 온 극작가 황대현이 직접 연출하고 경정호, 박상욱, 이 산, 박선미, 한상돈, 홍하영, 기가연, 강신혜, 박진성, 안혜경이 출연하는 이번 작품은 비교 불가의 가슴 설레는 무대임과 동시에 관객과 더 가까이 호흡할 수 있는 작은 무대인 소극장의 매력을 흠뻑 맛볼 기회가 될 것이다. 

머리를 비워 내고 뜨거운 가슴으로 날것의 생생함을 가감 없이 전달하는 배우들의 불꽃 튀는 연기 앙상블, 무대 위로 풀어 놓은 이야기들의 조각난 퍼즐 찾기 등 재미난 볼거리와 지적 유희로 가득 찬 이번 공연에 세심한 관찰자로 때론 엄정한 심판자로 모두가 기다려 온 그분을 함께 맞을 준비를 권유해 본다. 오는 6월 30일까지 서울 종로구 대학로 스튜디오76에서 공연한다.

정길종기자 gjchung11119@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가 인간 창작물보다 AI 콘텐츠 선호…알고리즘 편향 논란 확산

데일리연합 (SNSJTV) 김민 기자 | 최근 발표된 한 국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공지능(AI) 시스템이 인간이 만든 콘텐츠보다 AI가 생성한 콘텐츠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AI가 점차 자기 강화(self-reinforcement) 구조 속에서 운영되고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창의성과 고용시장 전반에 심각한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연구팀은 다양한 언어 모델과 생성형 AI 시스템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인간이 작성한 글보다 AI가 만든 텍스트를 ‘더 정확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정보’로 판단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러한 경향이 데이터 학습 과정에서 AI 자체 산출물이 계속 축적되면서 편향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AI가 AI를 선호하는 구조가 고착화되면, 인간의 독창적인 사고와 창작물이 주변화될 수 있다”며 “이는 예술·저널리즘·교육 등 인간의 고유한 창의성이 핵심인 영역에서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기업이 AI에 의존해 콘텐츠를 대량 생산하는 추세가 가속화되면서 노동시장에도 불안 요소가 커지고 있다. 연구에 참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