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포토」 더블어민주당 강남(병) 정기 지역대의원대회 성대히 열려

강남구의회 이관수의장 ‘57만 강남구민의 행복’ 누지 기꺼이

 
더블어민주당 강남(병) 정기 지역대의원대회”가 이관수의장 강남구의회 강남(병)지역위원장의 초대로 6일 오후 3시에 삼성1동 주민센터 7층 대강당에서  진행되었다.


대의원대회에는 전현희국회의원 더블어민주당, 김삼희국회의원 바른미래당, 정순균구청장 강남구, 경만선의원, 문병훈의원, 한기영의원, 추승우의원 서울시의회, 김현정의원, 허주연의원, 김세준의원 강남구의회, 박칠성의장 구로구의회, 김성곤 강남(갑)지역위원장 더블어민주당, 지역대의원, 지지당원을 비롯한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히 열렸다.

이의장은 인사말에서 내빈들에게 감사의 큰절을 올리고, ‘57만 강남구민의 행복’을 위해서라면 누지한 곳이라도 기꺼이 가겠다. 라고 했다.

정길종기자  gjchung11119@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이슈분석] AI 발열 잡을 차세대 반도체, 질화갈륨이 뜬다

데일리연합 (SNSJTV) 윤태준 기자 | AI 연산량이 폭증하면서 반도체의 전력 소모와 발열 문제가 글로벌 산업의 난제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의 실리콘 기반 반도체는 한계에 봉착했고, 전기차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해온 실리콘 카바이드(SiC)가 대안으로 부상했지만, 차세대 후보로 질화갈륨(GaN)이 새로운 주목을 받고 있다. 업계는 고효율 전력 관리와 발열 제어 기술을 선점하는 기업이 AI·모빌리티 시대의 승자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왜 새로운 반도체 소재가 필요한가 AI 추론은 방대한 연산을 소화해야 해 전력 소모가 크다. 문제는 전압을 낮추면 전류가 오히려 증가해 발열이 심해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밴드갭이 높은 소재가 필수적이다. 밴드갭이란 전자가 움직일 수 있는 에너지 장벽을 의미하는데, 값이 높을수록 고전압 환경에서도 안정적이다. 현재 시장의 주력, 실리콘 카바이드(SiC) 실리콘과 탄소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SiC는 높은 전압에 강하고 발열에도 강인한 특성을 보인다. 전기차의 인버터·충전기 등에서 활용도가 높아, 테슬라를 비롯한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SiC 반도체를 채택하고 있다. 미국의 온세미(Onsemi), 독일의 인피니언(Infineon),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