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생활/건강

고구려 미세먼지시스템, 안전한 사회 지속적인 홍보 개발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지속적인 홍보 개발

 
국내 안전방충망업계 선두주자인 고구려 미세먼지시스템에서 안전, 방범방충망, 미세먼지차단 등으로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지속적인 홍보와 개발에 앞장서겠다.

미세먼지는 안구 가려움증이나 염증을 유발하고, 혈전을 만들어 뇌졸중이나 치매를 일으키며 산화스트레스 증가로 부정맥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각종 피부염과 알레르기를 일으키고, 기침과 천식을 악화시킨다.

겨울철에는 실내·외에서 호흡기 질환 예방이 중요하다. 국민들은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차갑고 건조한 공기를 피할 수 있도록 불필요한 야외 활동을 자제, 마스크 착용, 실내 공기청정기 등으로 안전에 대비하고 있다. 

여기에 창문에 미세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는 차단망을 설치하는 것도 좋은 예방법이다.라고 했다.

안전방충망 전문 제조업체 고구려시스템㈜은 미세먼지 차단망과 기존 안전·방범 방충망에 고구려 FINE망의 장점을 합해 제작한 차단망은 공기의 미세먼지 70% 이상을 차단하며 오염된 공기를 방출시키고, 맑은 공기를 유입시킨다. 또한 방충, 빗물 차단, 보안, 추락 방지까지 다양한 기능을 선보이고 있다.

▲미세먼지 차단 / 입자 포집률(계수법, 입자크기 : 10.0㎛~15.0㎛) 77.7% (사용분진 : KS A 0070: 2007 11종 분진) 고구려시스템 미세먼지 황사망 실험결과 ▲ 방충망의 장점: 안전, 방범, 미세먼지대비, 추락방지, 영구적인 기능 등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 안전사고 대비 1인 여성가구 저층세대 외부 침입 시 침입 알림기능 등으로 보호하고 다양한 컬러를 통해 집안에 미적 감각을 살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꽃가루, 곤충, 빗물까지 차단해주어 효율성을 갖추고 있으며, 여기에 내구성까지 더해져 해무와 해풍에도 쉽게 부식되지 않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오랜 시간 사용에도 무리가 없다. 라고 고구려시스템 최광문사장은 밝히며 안전한 사회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와 개발을 하겠다고 했다. 


고구려시스템㈜은 국내최초로 안전방충망을 개발한 업체이며, 15년 12월 조달우수제품으로도 선정되었다. 현재 LG하우시스와 에스원 협력업체로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인증을 받아 신뢰성을 높였다.

문의사항 1800-3665

정길종 기자 gjchung11119@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국내 기업, AI 반도체 시장 진출 가속화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국내 기업들이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한 적극적인 투자와 기술 개발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AI 반도체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고성능·저전력 시스템 반도체 기술을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 확보에 주력한다. 특히,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어 향후 시장 점유율 확대가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기술력을 기반으로 AI 반도체 시장에 진출하여, 고용량·고속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AI 학습 및 추론에 필요한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특화된 제품을 출시하며, AI 반도체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이러한 국내 기업들의 적극적인 행보는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의 경쟁 심화를 예고한다. 미국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 기업들은 자체적인 기술력과 생산 인프라를 바탕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