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천안 29.4℃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국제

비핵화前 남북 교류·협력 확대, 찬성 59% vs 반대 29%



국민 10명 중 6명에 이르는 대다수는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보조를 맞추면서, 북한의 비핵화 이전이라도 남북 간 교류·협력을 확대하는 데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남북 정상이 평양공동선언을 발표한 가운데, tbs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에 보조를 맞추면서, 북한의 비핵화 이전에 남북 간의 교류·협력을 확대하는 데 대한 국민여론을 조사한 결과, ‘한반도 비핵화와 긴장완화를 촉진할 것이므로 찬성한다’는 응답이 58.6%로 집계됐다. ‘

대북 압박을 느슨하게 해 비핵화를 저해할 것이므로 반대한다’는 응답은 찬성의 절반인 29.1%로 나타났다. ‘모름/무응답’은 12.3%.
세부적으로는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보수야당 지지층과 보수층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지역, 연령, 직업, 이념성향, 정당 지지층에서 찬성 여론이 대다수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라(찬성 73.4% vs 반대 19.0%)에서 찬성이 70%를 상회했고, 부산·울산·경남(66.0% vs 18.8%)에서도 찬성이 60%대 중반을 기록했다.

이어 서울(찬성 59.8% vs 반대 26.7%)과 경기·인천(58.8% vs 31.4%), 대구·경북(57.1% vs 29.5%) 순으로 찬성이 60%에 가까운 대다수로 나타났다.

한편 대전·충청·세종(찬성 39.2% vs 반대 43.5%)에서는 반대가 다소 우세한 양상이었다.
연령별로는 30대(찬성 69.0% vs 반대 24.7%)와 40대(67.4% vs 27.5%), 20대(59.4% vs 20.0%)에서는
찬성이 60%에 근접하거나 60%대 중후반이었고, 50대(53.6% vs 38.0%)와 60대 이상(48.3% vs 32.4%) 역시 찬성이 절반 전후인 대다수로 조사됐다.
직업별로도 사무직(찬성 71.2% vs 반대 22.0%)과 자영업(57.8% vs 38.5%), 노동직(53.6% vs 35.7%), 무직(52.9% vs 21.8%), 학생(51.5% vs 27.5%)에서 찬성이 절반을 넘었고, 가정주부(42.3% vs 39.4%)에서는 찬반 양론이 팽팽하게 엇갈렸다.

/전건주 기자 chonchu@naver.com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한은, 기준금리 동결…물가 안정 우선, 성장 둔화 우려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8일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와 부합하는 결과이나, 최근 경제 성장 둔화 우려와 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으로 분석된다.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물가 안정에 대한 한국은행의 강한 의지를 반영한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다소 둔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목표 수준을 상회하고 있으며, 핵심 물가의 상승 압력도 여전히 존재한다. 한국은행은 향후 물가 흐름과 경제 성장 전망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수출 부진과 내수 위축이 지속되면서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되고 있으며, 기업 투자도 감소하고 있다. 금리 인상이 경기 침체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금리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향후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것임을 시사했다. 물가 안정과 경기 성장 사이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며, 향후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여 금리 인상 또는 추가적인 동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