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8.24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경북

[축제] 문경새재에서 즐기는 '2023 문경 친환경 캠핑 페스티벌'

오는 4월 28일~30일, 5월 5일~7일, 총 2회차 풍성한 행사로 꾸려

 

데일리연합(월간, 한국뉴스신문) 김재욱 기자 | 문경시에서 '2023 문경 친환경 캠핑 페스티벌'이 오는 4월 28~30일, 5월 5~7일 총 2회에 걸쳐 국민여가캠핑장, 찻사발 축제장 등 문경새재 일대에서 열린다. 이번 행사는 경상북도, 문경시가 주최하고 세계유교문화재단, 안동MBC가 주관하여 펼쳐진다.

 

문경 친환경 캠핑 페스티벌은 비대면 시대 관광 트렌드로 급부상한 캠핑과 트레킹(걷기) 그리고 친환경을 접목한 축제로 전년도 단산숲속캠핑장에서 개최되어 큰 인기를 끌었던 바가 있으며, 올해는 문경찻사발축제와 연계해 문경새재 일원에서 펼쳐져 큰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축제는 1회차에서 ▲안동MBC <정오의 희망곡> 오픈 스튜디오 ▲문경로컬푸드 캠핑요리대회 ▲야간음악회 ▲찾아가는 영화관 <감쪽같은 그녀> 상영과 2회차에서는 ▲문경새재 라디엔티어링 ▲신스틸러 공연이 펼쳐지는 등 2박3일 동안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이 준비되어 있다.

 

특히 찻사발축제 개막식인 4월 29일에는 안동MBC <정오의 희망곡> 오픈스튜디오가 12시에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광화문 앞에서 펼쳐지며, 가수 길구봉구, 임재현, 박현서, 오예린 등이 출연하여 무대를 꾸밀 예정이다.

 

또한 5월 6일에 진행되는 "문경새재 라디엔티어링"은 문경새재 2관문까지 약 6.4km를 라디오방송을 들으며 걷는 트레킹 프로그램으로, 미션을 수행하며 준비된 공연을 관람하고 찻사발 축제장을 탐험한다. 같은 날 '친환경 플로깅 이벤트'는 가족 단위, 젊은 관광객들에게 뜻깊은 체험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쓰레기 줍기 후 SNS 이벤트를 통해 소정의 상품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친환경 캠핑 페스티벌은 2박 3일 캠핑 사이트는 2회차 모두 예약이 빠르게 마감되었으나, 정오의 희망곡 오픈스튜디오와 라디엔티어링, 플로깅 체험 등은 찻사발축제 현장을 찾은 모든 관광객이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세계유교문화재단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신현국 문경시장은 "올해 찻사발 축제와 연계하여 친환경 캠핑 페스티벌을 개최하게 되어 양쪽 다 더욱 풍성한 축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축제장을 찾아주시는 많은 방문객이 문경새재, 단산 등 문경만의 독보적인 자연환경과 여러 체험행사를 통해 힐링과 체험을 즐기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폭염 속 열악한 노동 환경 문제 심각… 정부 대책 효과 미흡 논란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인해 야외 작업장 노동자들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잇따른 온열 질환 발생과 열사병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보고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정부는 폭염 대책으로 휴식 시간 확보, 작업 환경 개선 등을 권고하고 있으나, 현장에서는 이러한 대책이 제대로 이행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특히, 건설 현장이나 택배 배송 등 야외 작업 환경은 열악한 경우가 많아 노동자들의 피해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계에서는 정부의 대책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비판하며, 더 강력한 법적 규제와 처벌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폭염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문제도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일부 기업에서는 폭염으로 인한 생산 차질을 이유로 인력 감축을 시도하는 사례도 보고되면서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폭염으로 인한 노동 환경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노동자 간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기업의 자발적인 노력과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