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국가보훈처 이승만 대통령 서거 제53주기 추모식

(데일리연합뉴스강대석기자)

19() 오전11,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려

 

 조국의 독립운동에 헌신하고 초대 대통령으로서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이바지한 이승만 전() 대통령의 서거 53주기를 기리는 이승만 대통령 서거 제53주기 추모식19() 오전 11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린다.

 

 ()이승만건국대통령기념사업회(회장 신철식)에서 주관하는 이 날 추모식에는 오진영 서울지방보훈청장을 비롯한 각계 인사, 유족, 독립운동 관련 단체장, 시민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 기도, 참석 내빈의 추모사, 유족 인사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 식순 아래 참조

 

식 순 

개회

국민의례

추모 기도

우남의 말씀(1942.6.13. 싸워라 이겨라 고국 동포여!) 육성 녹음

추모식사 신철식 기념사업회장

추모사 오진영 서울지방청장

한태규 한국외교협회장

특별 찬송

추모의 노래

분 향 유족 및 참석 내빈

유족 인사 이인수 박사

폐회

 

 우남 이승만 박사 공적

 

우남 이승만 박사(1875. 3. 26.1965. 7. 19.)는 황해도 평산에서 출생하였다. 1896년 서울에서 서재필의 지도로 협성회(協成會)를 조직하여 협셩회회보라는 주간신문을 발간하고, 논설위원으로 러시아의 절영도조차에 대해 국민이 합심하여 국권보호에 나설 것을 촉구하여 조차요구를 철회시켰다. 협셩회회보를 우리나라 최초의 일간지인 매일신문(每日新聞)으로 전환시킨 뒤 협성회 회장 겸 매일신문 사장으로 외국의 이권침탈을 저지하는데 앞장섰다.

1898뎨국신문창간에 참여하여 민중계몽에 힘쓰는 한편 독립협회 총대위원으로 선출되어 개혁운동에 가담했다. 18991월 만민공동회 활동과 관련된 쿠데타음모 혐의로 체포되어 종신형을 선고받고 만 57개월의 옥고를 치렀다. 이 때 그의 정치 사상을 가장 잘 표현한 독립정신을 저술하여 한국민의 자주독립의식 고취, 한국의 정치변혁의 필요성, 개화와 외교의 중요성 등을 한국의 독립보전방책으로 내세웠다.

190411월 미국으로 건너 간 박사는 1905년부터 1910년까지 조지워싱턴 대학, 하버드 대학, 프린스턴 대학에서 각각 학사ㆍ석사ㆍ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1910년 귀국하였다. 1912년 세계감리교대회에 한국 평신도대표로 참석하기 위해 다시 미국으로 건너 가 하와이에 근거를 두고태평양잡지, 태평양주보를 발간하며 독립의식을 고취했다.

19194월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초대 대통령으로 추대되었으며, 19215월에는 워싱턴 군축회의, 1933년에는 제네바 국제연맹회의에 참석하여 한국의 독립을 위해 활동했다.

194112, 일본의 진주만 공격으로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회 위원장이던 박사는 국민의 단결을 호소하는 육성방송으로 희망과 용기를 북돋웠다. 일본이 패망하자 194510월 귀국하여 뭉치고 엉키라,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못 사나니 다 같이 하나로 뭉치자고 역설하였다.

1948년에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을 국내외에 선포하고 초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정부에서는 박사의 공훈을 기려 1949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수여하였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이재명 대통령, 대구에서 다섯번째 타운홀 미팅

데일리연합 (SNSJTV) 장우혁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광주광역시와 대전, 부산, 강원에 이어 다섯 번째 타운홀 미팅을 대구에서 개최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수도권 집중과 지역 불균형 문제를 다시금 화두로 올렸다. 지방과 수도권의 불균형이 심한데, 개선되기보단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이고 그 원인에는 일자리 문제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우리나라 수도권 집값이 전 세계에서도 소득 대비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며 이 문제가 시정되지 않으면 언젠가는 일본처럼 '잃어버린 30년'이 시작될 것으로 우려했다. 이 대통령은 균형발전은 지역을 위한 배려가 아니라, 대한민국이 지속 성장하고 생존하기 위한 마지막 탈출구라고 강조했다. 이런 문제 인식 아래 같은 정책을 만들어도 지방에 더 혜택(인센티브)을 주고, 특히 서울과 거리가 멀수록 더 많은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시범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앞으로는 기업 배치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등 정책을 결정할 때마다 균형발전 영향을 반드시 고려하도록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끝으로 장중 3,900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