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10.25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인천 16.9℃
  • 수원 17.3℃
  • 청주 18.2℃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전주 23.2℃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흐림여수 21.2℃
  • 맑음제주 26.3℃
  • 흐림천안 17.6℃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국제

화성 뱃놀이 축제, 지역 역사 품은 문화 축제로

 (데일리연합강대석기자)
고대 비단길 개척했던 당성 재조명... 세계적인 해양레저 도시로의 비전 엿보여

 해상퍼레이드’,‘오션 판타지 퍼레이드’, ‘당성 Sea Road 탐험인기

 31일 전곡항 마리나에서 당성 국제학술대회 개최도

 

전국의 지자체들이 앞 다퉈 크고 작은 축제들을 선보이고 있는 가운데, 화성시가 지역의 역사를 담은 차별화된 문화축제로 인기를 끌고 있다.

 

시는 지난 26일부터 내달 3일까지 전곡항과 제부도에서 열리는 ‘2018 화성 뱃놀이 축제에서 고대 삼국시대 비단길 개척에 앞장섰던 당성을 재조명하는 프로그램들을 선보이며 시의 정체성을 다지고 세계적 해양도시로의 비전을 펼치고 있다.

 

특히 축제의 시작을 알리는 개막식부터 천년 전 바닷길 개척에 나섰던 선조들의 꿈을 퍼포먼스로 승화시킨 오션판타지 퍼레이드 in 당성과 고대 무역선의 출항을 재현한 해상 퍼레이드가 합쳐져 그 어디서도 보기 힘든 장관을 연출하며 시민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특화콘텐츠로 문화해설사와 함께 당성을 답사하고 서해안 해상 교역로였던 제부도와 전곡항 일대를 배를 타고 탐방하는당성 Sea Road탐험프로그램도 선보인다.

 

축제기간인 내달 2일부터 3일까지는 전국 각지의 200여명의 크루저 요트 선수들이 참가하는 ‘2018 화성 서해안컵 전국요트대회를 개최해 해양레저산업 거점도시로서의 화성시의 저력을 보여줄 전망이다.

 

채인석 화성시장은 화성시의 역사와 문화, 자연이 어우러진 관광콘텐츠들로 화성만이 보여줄 수 있는 특별한 축제를 만들어가는 중이라며, “세계적인 관광지들과 견줘도 손색없는 최고의 해상레저 도시로의 성장을 기대해달라고 말했다.

 

한편, 시는 31일 전곡항 마리나센터에서 강진갑 경기대학교 교수, 팀 윌리암스 런던대학교 교수, 준 기무라 동해대학교 교수를 비롯한 국내외 저명인사와 함께 항구와 요새 그리고 문화이동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열고 당성의 역사적 가치를 밝히는 연구의 외연을 넓혀나갈 계획이다.

 

화성 뱃놀이 축제 프로그램 및 공연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http://www.hs-festival.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美 연준, 추가 금리 인상 시사…글로벌 금융시장 불안 가중, 한국 경제 영향 촉각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최근 발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을 통해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다시 한번 증폭되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의 매파적 스탠스 유지 배경과 더불어, 이로 인해 한국 경제가 직면할 수 있는 파장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번 의사록 공개는 고물가 압력이 여전히 높고 노동시장의 견조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연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 달성을 위해 당분간 긴축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시장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을 꺾고 고금리 시대가 장기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미국 금리 인상 기조의 강화는 곧바로 한국 금융시장에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미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원/달러 환율의 추가 급등을 부추기고, 외국인 투자 자금의 유출 가능성을 높여 금융 불안정을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은행이 물가와 경기 상황을 고려해 금리 인상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