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8 (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독일인들, 초고령화 사회 점점 더 위험으로 인지

독일인들, 초고령화 사회 점점 위험으로 인지


독일인들이 인구변화를 위험으로 인지하는 정도가 점점 커지고 있다. 무엇보다 앞으로 자신들이 오랜기간 일해야 한다는 걱정이 모습이다.  


(사진출처: spiegel online)


지난 8일자 슈피겔 온라인은 독일 국민들이 인구변화로 인해 따라오게 결과를 인지하는 정도가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하며, 최근 베르델스만 재단의 위탁으로 실시된 설문결과를 전했다.


설문결과에 의하면, 독일인들의 절반 이상이 초고령화 사회를 위험하다고 보고 있었으며, 이들의 2/3 위험성으로 노인빈곤과 늦어지게될 퇴직연령, 그리고 증가하는 연금분담금을 들었다.    


설문 답변자의 65% 노령사회는 기회보다 위험이 크다고 답했으며, 이와 반대로 답한 설문 답변자 비율은 8% 불과했다. 지난 2014 같은 질문으로 설문에 답했던 55% 독일인들 또한 노령화 사회를 위험으로 바라보았지만, 최근 결과와 비교하면 차이가 뚜렸하다.


또한, 지난 2002년도 설문결과에 의하면, 52% 독일인들이 법적 퇴직연령보다 빨리 퇴직하고 싶다고 답한 모습이지만, 최근 설문결과 비율은 무려 25% 줄어들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퇴직연령과 상관없이 계속 일하기를 원하는 독일인들의 비율 또한 같은기간 5%에서 12%까지 상승한 모습이다. 앞으로 10 후면 독일의 베이비붐 세대가 퇴직연령으로 접어들게 되는 현실에 직면해 있는 많은 사람들이 이전보다 오랜기간 일할 준비가 되어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저임금분야 직업 활동자들이 퇴직연령과 상관없이 계속 일할수 있는 경우는 건강상의 이유로 불가능한 경우가 잦을 것으로 예상되어, 노령기의 사회적 불평등이 드러나는 듯한 결과를 나타내기도 했다.     


한달 세후 임금이 2500유로 이하인 40 이상 직업 활동자들이 퇴직연령 이후에도 계속 일하겠다고 답한 비율은 38% 반면, 같은 연령대 3500유로 이상의 임금을 보이는 직업 활동자들의 비율은 21% 차이를 보인다.


베르델스만 재단의 위탁으로 알렌스바흐 연구소가 실시한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2017 10 7일부터 19일까지 16 이상 연령대 독일인 1454명에게 개인 인터뷰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낮에는 자원순환, 밤에는 조선체험으로 보낸 김제의 특별한 주말

데일리연합 (SNSJTV) 박해리 기자 | 9월의 첫 주말 김제시가 시민과 관광객으로 북적였다.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2일간 김제시민문화체육공원에서 ‘제3회 김제 자원순환 새로보미 축제’가 개최됐다. ‘새로보미 축제’는 5개 분야에 걸쳐 총 80개의 다채로운 자원순환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누구나 즐기고 참여할 수 있는 축제다. 특히, 고장 나거나 쓸모 없어진 물건들, 재활용품 등 폐자원을 활용해 만든 예술작품인 ‘정크아트’전시는 어린이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어른들에게 색다른 감동을 선사했다. 또, 단순히 자원순환을 주제로 한 콘텐츠를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행사 운영 전반에 친환경 원칙을 적극 반영해 자원순환의 가치를 직접 체험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진행돼 관람객들이 자연스럽게 자원순환을 실천하도록 유도했다. 더불어, 환경부 주최 정부 공식행사인 ‘제17회 자원순환의 날’ 기념식을 지난 5일 “탈플라스틱, 지구를 위한 약속”을 주제로 진행되며 그 의미를 더했다. 이번 ‘제17회 자원순환의 날’행사는 수도권 중심 방식에서 벗어나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