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인천 31.5℃
  • 맑음수원 32.9℃
  • 맑음청주 33.1℃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전주 34.0℃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여수 30.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천안 31.6℃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국제

사회적 지위상승 유난히 어려운 독일(1면)

사회적 지위상승 유난히 어려운 독일


최근 연구결과, 독일에서 사회적 지위상승이 생각보다 쉽지 않은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증조부모의 직업이4 자손들의 사회적 지위에까지 영향을 끼치는 모습이다.

 

(사진출처: zeit.de)


지난 5일자 독일의 주요언론들은 독일에서 사회적 지위가 압도적으로 조상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도하면서, 증조부모의 학력이나 직업이 오늘날 자손들의 사회적 지위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결과를 이끌어낸 독일 세계경제연구소 IfW 마드리드 대학의 공동 연구결과를 전했다.


  결과는 독일에서의 사회적 불평등이 감소하는데에는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말한 IfW연구소 학자 제바스티안 브라운 (Sebastian Braun) 증조부모의 사회적 지위가 낮으면 낮을수록 오늘날 증손주의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조상의 낮은 지위는 4대가 지난 이후에도 지위상승에 걸림돌이 되고있다 설명했다.    

평균적으로 사람의 사회적 지위에 결정을 끼치는 요소들의 60% 세대로부터 다음 세대로 전달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 가운데, 사회적 네트워크와 유전되는 재능 등이 요소에 포함된다.   


20세기에 살았던 독일 가족들의 4대에 걸친 사회적 지위를 자료로 결과를 이끈 이번 연구는 대부분의 산업국가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사회적 지위가 30-40%만이 부모로부터 영향을 받으면서 사회적 불평등이 비교적 빠르게 사라질 것이라는 이전 연구결과들과 다른 결과를 가져와 이목을 끌고 있다.


하지만, 이전 연구결과들에서도 독일의 사회적 지위상승은 다른 많은 산업국가들과 비교해 유난히 어렵다는 결과를 이끈바 있다.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AI 모델의 환각 현상: 기술적 한계와 윤리적 문제점 심화 분석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AI 모델의 발전과 함께 '환각 현상'이라는 새로운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환각 현상이란 AI가 사실이 아닌 정보를 마치 사실인 것처럼 생성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는 AI 기술의 신뢰성과 안전성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AI 모델은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패턴을 인식하고 예측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학습 데이터의 오류나 편향, 모델 자체의 한계 등으로 인해 사실과 다른 결과물을 생성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환각 현상은 단순한 오류를 넘어, 잘못된 정보 확산, 사회적 혼란, 심지어는 법적 문제까지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생성형 AI 모델은 환각 현상에 더욱 취약합니다. 이러한 모델은 새로운 텍스트, 이미지, 코드 등을 생성하는 데 탁월하지만, 그 과정에서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지 못하고 그럴듯한 거짓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AI 기술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환각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더욱 정확하고 균형 잡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