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인천 31.5℃
  • 맑음수원 32.9℃
  • 맑음청주 33.1℃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전주 34.0℃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여수 30.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천안 31.6℃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지원 안해주면 떠난다? GM '먹튀' 행보 논란


[데일리연합 전호성기자] GM이 이미 여러 나라에서 기업이 부실해지면 정부에 손을 벌려서 지원을 받고는 결국에는 철수했던, 이른바 '먹튀'의 과거사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10년 전까지만 해도 세계 1위 자동차 업체였던 GM.


하지만 차종 다양화에 실패하며 쇠락하기 시작했고, 2009년 금융위기로 파산 위기에 몰렸다.


가까스로 회생하긴 했지만 GM의 구조조정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각국 정부에 회생 비용을 전가하고 여의치 않으면 떠나는 전략이다.


호주에서는 12년간 약 2조 원을 지원받다 정부 지원금이 끊기자 공장을 폐쇄했고, 유럽 자회사 오펠과 공장 6곳은 회생 기미가 안 보이자 지난해 매각했다.


스웨덴에선 2009년 3천억 원대 지원금이 끊기자 사브 공장을 팔고 철수했고, 비슷한 방식으로 GM 공장은 캐나다와 러시아, 인도네시아에서 차례로 사라졌다.


2014년 취임한 메리 바라 회장은 시장규모가 큰 미국과 중국 시장에 주력하고 수익성이 떨어지는 사업장은 정리하는 전략으로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GM 본사 입장에서, 한국GM은 당장 버리기 어려운 카드라는 분석이 많다.


우선 국내 부품업체들의 기술력이 좋고 중·소형차 생산과 개발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거점은 한국GM이 유일하다.


또 한국GM이 만드는 트랙스가 미국시장에 11만 대 넘게 수출되는 등 소형 SUV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정부가 '원칙'을 강조하고 GM이 신속한 실사에 동의하는 등 비교적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이유다.


구조조정과 철수를 거듭하고 있는 해외 사업장의 사정과 달리, GM은 미국 캔자스 공장에 3천억 원을 새로 투자하기로 했고 본사 직원 5만여 명에게 1만 1천 달러씩 보너스를 지급하기로 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춘천 전역이 무대다, 확 바뀐 막국수닭갈비축제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박해리 기자 | 춘천시가 막국수닭갈비축제 전면 재편을 본격화한다. 올해 축제는 10월 16일부터 19일까지 나흘간 공지천 일원과 명동, 신북읍, 온의동‧남춘천역, 후평동 등에서 개최된다. 올해 막국수닭갈비축제는 축제 패러다임 자체를 전환했다. 기존의 단일장소 구성에서 벗어나 주 행사장을 공지천 하천변으로 지정하고 명동·온의동·후평동·신북읍 등 권역별로 행사장을 나눠 춘천시 전역을 축제 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올해 축제 이름은 ‘All tastes, 2025 춘천막국수·닭갈비축제’로 정하고 메인 로고 슬로건은 “막닭을 ‘맞닥’ 뜨렸을 때, 온몸으로 전해지는 맛의 전율!”로 확정했다. 춘천을 대표하는 두 음식의 정체성을 젊고 감각적인 언어로 표현해 국내외 관광객의 이목을 끌 계획이다. 행사장 내에서는 테이크아웃 조리가 가능한 부스를 설치해 관람객 편의성을 높인다. 닭갈비는 △통나무집 △토담 △우성 △1.5 △산속의 △큰지붕 △장호 △명동명물 △비와별(애막골) △낙원동숯불 등 10개 업체가 참여하고 막국수는 유포리, 샘밭, 시골, 퇴계, 별당, 두메 등 6개 업체가 참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