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인천 31.5℃
  • 맑음수원 32.9℃
  • 맑음청주 33.1℃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전주 34.0℃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여수 30.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천안 31.6℃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정치/경제/사회

금융지주회사 '셀프 연임' 제재한다


 


[데일리연합 전호성기자] 국민연금이 최대주주인 금융지주회사의 회장님들이 기업 오너도 아닌데 몇 번씩 연임을 하고 있다.


하나은행 등 계열사 11곳을 거느린 하나금융그룹.


현 김정태 회장의 임기가 내년 3월 끝나는데 유력한 차기 후보가 김 회장 한 명이다.


이미 한번 연임에 성공한 김 회장이 3선 의지를 밝혔고 재연임이 확실한 분위기다.


이유는 회장 선출 방식 때문.


회장추천위원회가 사내이사 한 명과 사외이사 6명으로 구성되는데 사외이사 6명 모두 김 회장 산하 경영지원실에서 추천한 인사들이다.


2015년 김 회장의 연임 확정 시 추천위에 포함된 사내이사 한 명은 김 회장 자신이었다.


국내 1위 금융지주사 KB에서도 현 윤종규 회장의 연임도 논란이다.


지난 5월 회장 후보군 논의가 이뤄진 회의에 후보 신분이던 윤 회장이 참석하면서 입김이 작용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기도 했다.


셀프 연임 논란이 계속되자 금융감독원은 내년 초 금융지주사의 회장 선임절차에 대한 특별 검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카카오, AI 기술 경쟁 심화 속 '카카오브레인' 성장 전략 주목

데일리연합 (SNSJTV. 타임즈M) 송은하 기자 | 최근 국내 AI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카카오는 자체 AI 전문 자회사인 카카오브레인을 중심으로 한 공격적인 성장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네이버, LG 등 대기업들이 AI 기술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집행하는 가운데, 카카오는 어떻게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지 주목된다. 카카오브레인은 초거대 AI 모델 'KoGPT'를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이미지 생성 AI, AI 기반 의료 서비스 등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실제 서비스 적용을 통한 수익 창출과 사용자 경험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그러나 카카오가 직면한 과제도 존재한다. 네이버와 같은 선두주자들과의 기술 격차를 줄이고, 다양한 AI 서비스들을 성공적으로 시장에 안착시켜야 하는 부담감을 안고 있다. 또한, AI 기술 개발에 따른 윤리적 문제 및 사회적 책임에 대한 고려도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카카오는 이러한 과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외부 기술 도입 및 파트너십 구축, 인재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