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2025.09.02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많음인천 29.1℃
  • 구름많음수원 29.3℃
  • 구름조금청주 30.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구름조금전주 31.3℃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여수 29.7℃
  • 맑음제주 31.5℃
  • 구름조금천안 29.0℃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국제

파리시, 에어비에비 등 숙박공유사이트 제제 강화

파리시, 에어비에비 등 숙박공유사이트 제제 강화

파리시가 에어비엔비 등 숙박공유사이트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수순에 들어갔다. 그 동안 인터넷 플랫폼을 통해 관광객을 상대로 한 불법임대광고로 부당이익을 취하는 관행의 고리를 끊어보겠다는 파리시의 의지표명에 양측의 공방이 예상된다.   
프랑스 라디오 뉴스채널 프랑스 앵포France info에 따르면 파리시는 에어비엔비를 비롯해 아브리델, 윔두, 파리아티튜드 그리고 세쥬르닝 5개 사이트의 불법 광고 철회를 위한 법적 소송을 예고했다. 법적 조치를 피하기 위해서는 이들 사이트는 수천 개의 광고를 삭제해야 해 숙박 플랫폼과 파리시의 논쟁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안 브로싸 파리시 주택담당관은 공식통지를 통해 여러 숙박플랫폼이 의무를 준수하고 불법광고를 금지 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현재 에어비엔비측은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으며 통지서는 아직 받지 못했다고 알렸다. 

파리시는 지난 12월 1일부터 여행객에게 숙박임대를 하기 위해서는 파리시청 서비스란에 등록을 의무화시켰다. 이 절차를 통해 각 숙박소는 고유번호가 지정되어 120일로 한정되어있는 임대요건을 감독할 수 있게 되어있다. 120일 이상 임대 금지규정은 전문숙박업으로 전환할 경우 재조정이 가능하다. 
현재까지 파리시에 접수된 개인 숙박임대업자는 1만여 명에 불과하다. 에어비엔비에 올라있는 광고가 4만 여건 이상에 달하는 것을 고려하면 대부분 불법광고라는 것이 파리시의 주장이다. 플랫폼 광고에 임대자의 등록번호를 표기해야 하지만 대부분은 지키기 않고 있다.   
파리시는 이러한 숙박 플랫폼들에게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법을 지킬 것을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 동안 적지 않은 임대광고주들이 유죄판결을 받았지만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해결의 열쇠를 쥐고 있는 각 플랫폼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브로싸주택담당관은 알렸다.
파리시가 우선적으로 법적 소송준비에 들어가는 불법광고는 에어비엔비의 1000여건을 비롯해 총 1400여건이다. 이들 대부분은 허가 없이 일년 내내 관광객을 상대로 한 임대용 주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 중 일부 객실은 1박당 2000보도


데일리연합 & 무단재배포금지
유로저널(http://www.eknews.net)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SNS TV

더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배너

포토뉴스

더보기

나주시, 전남 정책비전 투어 성료…미래 핵심 9대 비전 공유

데일리연합 (SNSJTV) 임재현 기자 | 전라남도 나주시가 2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전남 정책비전 투어’를 통해 시민과 함께 나주의 미래 핵심 정책 9대 비전을 공유하며 지역 발전의 청사진을 선보였다. 나주시는 이날 ‘함께 만드는 더 위대한 전남’을 주제로 정책비전 투어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김영록 전남도지사와 윤병태 나주시장, 이재남 나주시의회 의장, 시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해 지역 맞춤형 발전 전략과 신산업 육성, 주요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행사는 윤병태 시장 환영사, 김영록 지사 인사말, 나주시 정책 비전 발표, 정책 현안 토론 및 시민 의견 청취 순으로 진행됐다. 특히 김현철 전남연구원 부원장이 발표한 ‘나주시 미래 핵심 9대 비전’은 나주의 발전 잠재력과 향후 전략을 시민과 공유하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됐다. 나주시 미래 비전으로는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한 켄텍 중심의 ‘한국판 실리콘 밸리’ 조성, 에너지와 전력기업이 모이는 ‘국내 최대 K-에너지밸리’ 완성, 영산강 생태정원과 한반도 지형 전망대 등 조성을 통한 ‘영산강 르네상스 2.0’ 실현, 마한과